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황, 이이/ 주자, 왕수인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09월 30일 21시 19분
조회수
11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이황에 의하면, 이는 실제로 작용하여 기의 존재와 운동을 결정하는 능동적인 작용력을 지닙니다. 따라서 기에 대한 이의 주재는 이가 작용하여 기의 존재와 운동을 결정함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이이에 의하면, 운동하는 주체는 기뿐이고 이는 실제로 운동하지 않습니다. 이는 기의 운동의 까닭, 즉 원리일 뿐입니다. 따라서 기에 대한 이의 주재는 이가 기의 운동의 원리가 됨을 의미합니다. 2. 주희와 왕수인은 모두 마음과 이가 일체가 되어 마음의 활동이 오로지 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지를 수양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궁극적 경지로 봅니다. 그런데 마음과 이를 구분하는 입장을 견지하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알고, 그러한 앎을 미루어 이에 대한 완전한 앎을 얻는 지 공부(격물과 치지)가 행에 앞서 강조될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마음에 내재하는 이는 내성적 방법을 통해 직접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그러한 지 공부를 통해 천리에 대한 완전한 앎에 도달하는 것은 무척이나 어렵고 심지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선지후행의 관점에서 볼 때 천리에 대한 앎을 얻기 어렵다면, 이에 따른 행 또한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렇듯 마음과 이를 구분하게 되는 지와 행이 구분되고,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행하지도 못하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왕수인의 주장입니다. ▒▒▒▒▒▒ [장지현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이황, 이이를 공부하는데 ‘주재 ’의 의미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먼저 ‘주재’가 이황, 이이 둘 다에서 나오는데 그 의미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이황과 관련해서 ‘리가 기의 주재자가 된다’는 말은 리발을 인정하므로 리의 작용성을 의미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이와 관련해서 ‘이는 단지 기가 발하는 데 있어서 원인이 되고 주재가 될 뿐이다.’, ‘이는 기가 발하는 것의 까닭이고, 발하는 것을 주재한다는 의미이다.’라는 말에서, 기발이승일도설이므로 이때의 주재는 작용이 아닌 근원의 의 미로 이해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로, 왕수인이 주자학의 큰 결점이 지와 행을 괴리시킨것이라고 비판하고 그러한 문제점의 원인이 심과 리를 둘로 나누는 것에 기인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때 주자학에서 마음의 체가 천리이기 때문에 마음이 천리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이해가 됐습니다. 하지만 마음과 리를 둘로 나누는 것과 지와 행을 괴리된다는 것이 잘 연결되지 않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