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피터스 질문
- 작성자
- 최가연
- 등록일
- 2024년 10월 01일 16시 06분
- 조회수
- 67
- 첨부파일
-
교수님, 안녕하세요.
피터스 도덕교육론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교재에 피터스는 도덕교육의 목표를 합리적자율적 도덕성의 단계에 이르게 하는 것, 즉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되어있어서,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을 갖는 수준에 이른 사람은 곧 건전한 인격을 완성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건전한 인격은(1) “도덕규칙과 원리를 수용하여 통일적 도덕적 신념 형성하고, 도덕적 신념이 행동으로 일관되게 구현됨으로써 실천에 일관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실천적 삶이 도덕적 신념에 따라 꾸준히 전개됨으로써 신념에의 충실성이 갖추어질 때 형성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해가 먼저 이루어지고, 그 후에 지속적인 실천을 하는 것처럼 읽혀집니다. 그리고 실천의 일관성과 신념에의 충실성은 습관을 의미하는 것처럼 이해됩니다.
그리고 합리적자율적 도덕성은 (2)“도덕규범을 합리적 근거 위에서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받아들이고, 기본적 도덕원리에 준거하여 판단한 도덕규범에 따라 자발적으로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는 도덕성“으로, (3)“도덕적 이성의 발달과 함께 자신이 속한 사회의 도덕규칙과 생활양식에 적응하여 일정한 가치관과 태도, 행위 성향을 형성한 바탕 위에서” 형성된다고 설명되어있습니다.
위 원문과는 별개로 개인적으로 합리적자율적 도덕성의 형성은 어릴 적의 습관형성이 선행되고, 이후 이성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도덕규칙에 대한 판단능력을 키워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고 이해했는데요.
1. (1) 건전한 인격의 형성과정은 선습관-후이해의 과정과 모순된 것처럼 보입니다. 문장이 의미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 (3)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의 형성과정에 대한 문장을 개인이 속한 사회의 도덕 규범들을 습관들인 상태에서 이성이 발달함과 함께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이 형성된다고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2. (2)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의 특징은 형성과정이 아니라,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을 갖춘 사람이 현재 갖는 특성, 혹은 능력으로 구분하여 보면 되는 것일까요?
확인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