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에릭슨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4년 10월 14일 20시 35분
- 조회수
- 6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예를 들어 어떤 필요에 의해 ‘김병찬’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릴 때, 이러한 마음의 이미지를 심상이라 합니다. ‘언어적 부조화’가 아니라 ‘언어적 부호화’입니다. 언어적 부호화란 관찰한 모델의 정보를 언어적 형태로 부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2. ‘각 단계는 구조화된 전체’라는 말의 의미는 각 단계의 사고 구조는 그 자체로 완전한 논리 구조를 지닌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자체로 완전한 논리 구조를 지닌다는 말은 각 단계에서 특정한 논리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고가 모두 적절하다 혹은 타당하다는 말이 아닙니다. 높은 단계의 사고일수록 낮은 단계에 비해 더 적절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생겨나는 이유는 높은 단계는 아래 단계의 사고 구조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되는 방식으로 통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어
3. 3단계의 4-5세의 아동은 주로 놀이를 통해 타인과 관계를 맺는데, 놀이 과정에서 아동은 스스로 목적을 설정하고 매우 공격적인 태도로 설정한 목적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부모와 형제, 나아가 친구들과 관계 맺고 살아가는 현실은 아동의 주도적이고 공격적인 활동을 제한하게 되는데, 그러한 제한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이 죄책감입니다. 목적이라는 덕은 주도성과 죄책감이라는 심리사회적 위기에 직면하여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탐욕과 공격성을 제한하면서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이루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덕입니다. 언급하신 구절은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고하늘 회원님의 글] ▒▒▒▒▒▒
교과교육론 교재 중
1) P44 파지 과정의 설명에 등장하는 '심상과 언어적 부조화라는 두 표상 체계'의 의미가 이해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2) P50 인지 발달의 특징 셋째에서는 각각의 인지발달단계는 구조화된 전체라고 하고 넷째에서는 전단계는 바로 다음 단계의 토대가 되며 따라서 높은 단계는 전 단계의 인지 구조와 지적 능력, 사고 구조, 방식, 능력, 행위양식, 도식을 변형해서 발전시킨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럼 각 단계는 구조화된 전체가 아니지 않나요? 네번째 특징에 의하면 전단계는 다음 단계의 토대가 되고 가장 높은 단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세번째 특징은 각각의 단계가 완전하다고 해석되어 질문 드립니다.
3) P25 '목적'이 놀이와 현실과의 씨름을 통해 개발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