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프로이트
- 작성자
- 고하늘
- 등록일
- 2024년 10월 16일 19시 19분
- 조회수
- 71
- 첨부파일
-
1.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인간관의 차이를 보면 에릭슨은 프로이트와 다르게 합리적 측면을 중시한다고 합니다. (보충자료P14) 그러나 프로이트는 도덕적인 삶의 영위를 위해 거의 금욕적인 합리성을 통한 적절한 자기 통제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보충자료P10) 이는 에릭슨처럼 인간의 합리적 측면을 강조한 것 아닌가요?
2. '콜버그의 도덕심리학 연구의 철학적 가정 중 메타윤리학적 가정' 7번에서 (보충자료P1) 도덕판단은 이 행동이 선한지 악한지 특정 행동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데 어째서 교재 63쪽에는 도덕판단은 판단 대상의 가치(선, 악 등)에 대한 판단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3. 레스트의 4구성 요소 중 제3요소인 도덕적 동기화 요소의 관련 이론이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4. 도덕적 행위의 동기적 원천을 콜버그는 이성 혹은 도덕적 추론, 블라지는 자기일관성으로 본 게 맞을까요?
5. '레스트의 규범 유지 스키마와 인습 이후 스키마의 차이점'은 도덕적 합의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롤스와 칸트 뿐만 아니라 공리주의적 견해, 자유주의적 견해 등 여타 인습 후기에 해당하는 형태들을 폭넓게 반영하여 도덕성을 정의한다는 것.
'콜버그의 인습 이후 수준과 레스트의 인습 이후 스키마의 차이점'은 레스트는 인습 이후 스키마를 정의함에 있어 특정한 철학적 견해를 전제하지 않고 칸트나 롤스의 도덕 철학 뿐 아니라 다른 현대의 도덕 이론 또한 인습 이후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인데 그렇다면 '레스트의 규범 유지 스키마와 인습 이후 스키마의 차이점', '콜버그의 인습 이후 수준과 레스트의 인습 이후 스키마의 차이점'이라는 두 주제에 대해 이유가 동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나요? (레스트 학습Point 8번, 9번 관련)
6. 피아제는 도덕성 발달에서 도덕적 추론의 내용보다는 추론을 낳게 하는 기저의 구조 혹은 추론의 형식에 강조점을 둡니다. 그러나 도덕성 발달의 핵심 지표인 자기중심성의 저하와 역할채택 기능의 발달이라는 게 결국 타인의 감정과 욕구를 생각한다는 것인데 이는 결국 도덕성 발달에서 추론의 내용도 강조하는 것이 아닌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