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롤스 정의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장지현
- 등록일
- 2024년 10월 18일 11시 45분
- 조회수
- 108
- 첨부파일
-
교수님, 안녕하세요.
정치사회사상응용윤리 강의 중 롤스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롤스의 정의의 제2원칙에 대한 해석과 관련하여 ‘효율성의 원칙’에서 한 쪽의 기대치가 증가하면 필연적으로 다른 한 쪽의 기대치가 저하되
어 균형을 이룬다고 하셨는데, 격차가 벌어져 균형이 깨지는게 아니라 어떻게 균형을 이루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한 쪽의 기대치를 증가하고 다
른 한 쪽의 기대치가 저하되면 전체에서는 이전과 같기 때문에 균형을 이루는 것일까요? 만약 그렇다면, 차등의 원칙에 따른 사회도 계속해서 균
형이 맞아서 효율성의 원칙을 만족시킨다고 하셨는데, 이럴 경우 앞의 효율성의 원칙에서의 균형과 의미가 다른 것 같아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
다.
또한 효율성의 원칙에 따른 사회에서, 이미 균형이 맞을 때 무엇을 하나 얹으면 다른 한 쪽은 내려가서 균형이 깨진다고 말씀하셨는데, 이게 곧
효율성의 원칙(한쪽의 기대치가 증가하면 다른 한 쪽은 저하)이고 그러면 균형을 이루는게 아니라 깨지는 것인게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2. 일반적으로 차등의 원칙은 한 쪽의 기대치를 증가하면 다른 한 쪽의 기대치도 증가한다고 하셨는데, 롤스가 정의의 원칙에서 적용하는 차등
의 원칙은 최소수혜자의 이익을 올리면 최대수혜자의 이익도 올라가는 것이고 자연적 귀족주의의 해석에 따르면 최대수혜자의 이익을 올리면
최소수혜자의 이익도 올라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3. 자유주의적 평등에서 공정한 기회 균등의 원칙은 재능이 유사하면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 것이지만, 차등의 원칙을 적용
하지 않아 운에 의해 천부적 자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그러한 재능이 없는 경우에는 불평등하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4. 자유주의적 평등에서 민주주의적 평등과 달리 사회적 효율성을 실현하기 위해 공정한 기회 균등을 보장한다고 나와있는데, 그 논리가 궁금
합니다.
항상 질문에 정성스럽게 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