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정약용
- 작성자
- 고하늘
- 등록일
- 2024년 10월 26일 03시 46분
- 조회수
- 125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동양 윤리 강의 내용을 복습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1. 이이
<성발위정, 심발위의 주장에 대한 이이의 비판 (보충자료P39)> 을 설명해주시며 이이 계통은 '정'과 '의' 모두 마음의 작용으로 보지만 이황 계통은 '정'을 성이 발한 것으로 '의'를 마음이 발한 것이며 마음, 즉 '심'은 '기'이기 때문에 의는 기가 발한 것이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마음의 본체가 성(=이)고 마음이 천리를 담고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마음'이 '기' 인 것인가요? 그렇다면 이황은 이이처럼 심즉기를 주장한 것 아닌가요?
2. 맹자
맹자의 단서설과 관련하여 맹자가 주자처럼 사단이 사덕의 단서라고 보려면 사덕이 선천적, 사단이 후천적이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주자의 경우 사덕(성)이 발하여 나타난(정)으로 사덕이 선천적, 사단이 후천적이라 볼 수 있지만 맹자는 사덕을 인간의 선천적 도덕성, 사단 역시 보편적이고 선천적인 도덕심으로 보고 있는데 둘다 선천적이라면 어째서 사단이 사덕의 단서가 될 수 있는 것인가요?
3. 또한 맹자 보충자료 P10에서 인의 본질을 논하며 '인'은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마음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때의 마음은 사단을 일컫는 것인가요? 어째서 인을 표현할 때 덕이 아닌 마음이라고 표현하는 것인가요?
4. 정약용
정약용 보충자료 P9의 인간의 선함과 불선함의 근원을 설명하실 때 주자와 비교하며 주자에게 인간의 선함과 불선함의 근원은 기질이라고 해주셨는데 어째서인가요? 선함의 근원은 순수지선한 '이' 또는 본연지성, 악함의 근원은 가선가악한 '기' 또는 기질이나 기질지성이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5. 인도의 초기 대승불교 : 유식파
아뢰야식의 견분과 제6식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둘다 제6식은 의식, 야뢰야식은 인식 주체라는 점에서 차이점을 구별하기 어려워서 질문 드립니다 !
그리고 교과교육론(5~6월) 관련 질문으로
1. 데이먼의 도덕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보충자료 P21)에서 도덕교육이 종교적인 관점을 포괄해야 한다는 건 개인의 사상이 종교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는 세속주의적 입장을 반대한 것 아닌가요? 어째서 세속주의와 종교의 통합이라고 볼 수 있는 걸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