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11월 04일 20시 16분
조회수
9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변드리겠습니다. 1. “권리라는 것은 오직 관습이나 법이 인정할 때만 권리인 것이며, 그것은 언제나 역사적인 것이지 자연적인 것은 아니다.”는 자유주의자의 주장이 아니라, 자연주의자들 중에서 자연권론자들에 대한 공화주의자의 비판입니다. 자연권론자들에 의하면 인간의 권리는 권리를 규정하고 보장하는 실정법의 존재 여부와는 상관없이 만인이 자연적이고 생래적으로 갖는 권리입니다. 2. 한 국가에서 지혜로운 사람, 즉 교육의 과정을 통해 선의 이데아에 대한 지식을 가지게 된 사람이 2인 이상일 경우는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오히려 그런 경우에 더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들은 연합체를 이루어 함께 국가를 통치하게 됩니다. ▒▒▒▒▒▒ [이승원 회원님의 글] ▒▒▒▒▒▒ '1. 자유주의자의 내재적 자연적 권리는 커다란 이론적 약점을 지닌다. 권리라는 것은 오직 관습이나 법이 인정할 때만 권리인 것이며,그것은 언제나역사적인 것이지자연적인 것은 아니다. 라는 지문은 자유주의자의권리는 법이 꼭있어야 인정되는 것처럼 설명되는데요 '자유주의는 인간의 권리를 자연적, 생래적인 것으로 규정, 공화주의 입장에서는 자유와 권리는 타인의 자의적이고 예속적 지배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 저는 자유주의의 권리를 위 지문과 같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혹시 위의 지문이 뜻하는 바를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2. 정체(政體)의 형태가 여러 종류이듯, 혼의 유형들도 그만큼 있는 것 같으이. 즉, 정체의 형태는 다섯이고, 혼의 유형도 다섯이네. 하나는 우리가 상세히 언급한 정체의 형태이겠는데, 이는 이중으로 불릴 수 있겠네. 통치자들 가운데서 특출한 한 사람이 생기게 될 경우에는, 왕도 정체라 불리겠지만, 여럿일 경우에는, ( ᄂ )(이)라 불리겠으니까 말일세. 최선자 정체:보편적이고 영원변하는 국가의 선에 대한 지식을 소유한 사람(철인, 지혜로운 사람)이 정치 권력을 독점하여 행사하고, 국가의 다른 부분이 그러한 사람의 지배를 받아들이는 최선의 정치 체제 최선자 정체는 지식를 소유한 사람이 독점하는 정체인데, 왜 여럿일 경우에 최선자 정체라고 할까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