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공화주의 관련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4년 11월 04일 20시 47분
조회수
11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신아테네 공화주의에 있어서 자유의 본질: 자치 / 자유의 실현 조건: 시민의 덕성’입니다. ‘자치 경험’은 자유의 실현 조건이 아니라, 자유의 실현 조건인 시민의 덕성을 형성하는 계기입니다. ‘시민이 정치참여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시민들의 자발적 결사 속에서 이뤄지는 자치 경험 중시‘는 신아테네 공화주의의 특징을 표현하고 있는 구절입니다. “다른 수식어 없이 ’공화주의적 자유의 실현 조건‘에 대해 묻는다고 한다면 이러한 두 입장을 모두 고려하여 공정한 법의 지배+시민적 덕성과 자치경험 이라고 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라고 하셨는데, 이와 같이 아무런 조건 없이 공화주의적 자유의 실현 조건을 묻는 문제가 출제가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출제된다면 신로마 공화주의자 혹은 신아테네 공화주의자의 글을 제시문으로 주고 자유의 실현 조건을 물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전성원 회원님의 글] ▒▒▒▒▒▒ 공화주의에 대해 공부하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확인차 질문드립니다. 신로마 공화주의에 있어 자유의 본질: 비지배 / 자유의 실현조건: 공정한 법의 지배 신아테네 공화주의에 있어 자유의 본질: 자치 / 자유의 실현조건: 시민적 덕성&자치 경험 이렇게 정리한다면, ‘시민이 정치참여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시민들의 자발적 결사 속에서 이뤄지는 자치 경험 중시‘라는 말은 자치 경험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신아테네 공화주의적 자유의 실현조건에만 해당하고, 신로마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 맞을까요? 또한 다른 수식어 없이 ’공화주의적 자유의 실현 조건‘에 대해 묻는다고 한다면 이러한 두 입장을 모두 고려하여 공정한 법의 지배+시민적 덕성과 자치경험 이라고 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