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소크라테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1월 04일 17시 41분
조회수
115
첨부파일
- 소크라테스 1. 네. 상기설이 말하는 바입니다. - 맹자 2. 강의 시간에 말씀드렸듯이 사단과 사덕의 관계에 대한 맹자의 입장을 주희 혹은 정약용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맹자가 단서설을 주장했는지 혹은 단시설을 주장했는지를 묻는 맹자 문제는 출제될 수 없습니다. 맹자, 주희, 정약용의 입장을 각각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 밀 3. 국어 사전적 의미로 어떤 단위나 척도로 된 것을 다른 단위나 척도로 고쳐서 헤아림이 환산입니다. 밀도 인정했듯이 대부분의 쾌락은 양적인 속성과 질적인 속성을 모두 가집니다. 따라서 행위 선택 과정에서 예상되는 쾌락을 계산하여 대안 행위들 중 어떤 행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양을 질로 혹은 질을 양으로 환산할 수 있어야 하는데, 밀은 그러한 기준을 제시한 바가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쾌락 계산은 불가능해집니다. 4. 네. 극복할 수 있는 논리를 제시하였습니다. - 흄 5. 답변에 나온 ‘자연적 경향성’은 자비심과 같은 선천적인 마음의 경향성을 의미합니다. 공감의 본질은 그와 같은 경향성이 아니라 심리적 연상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의 능력입니다. - 무어 6. 자연적 성질을 지시하는 개념 중에서 단순개념도 있고 복합개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붉음은 단순개념이고, 크기를 나타나는 개념은 복합개념입니다. 자연주의 오류는 정의될 수 없는 비자연적인 형이상학적 실재인 선을 경험 가능한 자연적 성질을 지시하는 개념으로 정의하는 오류 혹은 자연적 사실을 기술하는 사실판단을 근거하여 가치판단을 이끌어 내는 오류입니다. ▒▒▒▒▒▒ [고하늘 회원님의 글] ▒▒▒▒▒▒ - 소크라테스 1. 소크라테스는 산파술을 '답하는 이가 자신의 내면에 내재한 앎을 깨닫도록 하는 방법'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지식은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되어 있는 것인가요? 참된 이성적 지식 또한 인간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것을 이성을 통해 발견하는 것이라고 봐야하는 걸까요? - 맹자 2. 지난 답변에서 <단서설이란 맹자가 말한 ‘단’은 ‘서(실마리)’를 의미한다는 주장입니다. 맹자는 측은, 수오, 사양, 시비의 마음을 인, 의, 예, 지의 단이라고만 말했을 뿐, 단이 서라고 주장한 바가 없습니다.>고 답변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미래앤 출판 교과서(2015개정 P41)에서 맹자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덕적 마음인 사단은 ‘어린싹과 같은 실마리’라고 표현하며 수양을 통해 사단을 확충할 때 인의라는 사덕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고 적혀있습니다. 실마리라고 표현한데 있어서 맹자도 단서설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생깁니다. - 밀 3.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밀은 양은 적지만 높은 질을 가진 쾌락과 양은 많지만 낮은 질을 가진 쾌락을 서로 비교할 수 있는 쾌락들 사이의 정확한 환산 기준을 제시하지 못했다'가 제기되는데 밀은 쾌락의 질은 결코 양으로 환원될 수 없다고 생각한데 있어서 양은 적지만 높은 질의 쾌락이 더 좋은 것이라는 환산 기준을 제시한 것 아닌가요? 4. 또한 현대의 공리주의에서 행위 공리주의의 문제점으로 비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밀은 개별적 도덕 규칙을 이야기하며 이 부분을 극복했다고 볼 수 있지 않은지 의문이 생깁니다. - 흄 5. 흄의 '공감'은 인간의 자연적 성향인데 다른 질문에 대한 교수님의 답변에서 공감은 자연적 경향성이 아니라고 하셔서 의문이 생깁니다. (해당 질문 및 답변은 사진으로 첨부했습니다!) - 무어 6. 무어는 자연주의 오류를 '선을 선한 것 혹은 선한 것이 지닌 자연적 성질 중 하나와 동일시하여 선을 정의하려는 모든 시도가 지닌 오류'라고 정의합니다. 이때 자연적 성질은 단일 개념인가요 복합 개념인가요? 자연주의의 입장은 가치판단과 사실판단을 동일시하며 A는 선하다는 말과 A는 자연적 성질 a, b, c를 가지고 있다는 말을 동일시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이때는 복합 개념으로 이해되고 자연주의 오류에 대한 무어의 정의에 있어서는 단일 개념으로 이해되어 질문 드립니다 !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