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이정빈
등록일
2025년 01월 09일 13시 10분
조회수
38
첨부파일
플라톤 정의의 덕과 관련한 질문드립니다. 1. 플라톤에게 인간의 영혼 측면에서 정의는 영혼의 각 부분이 자신의 기능에 따른 일을 훌륭하게 수행하고 나아가 각 부분이 조화를 이루어 하나의 전체적인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이루고 유지하는 영혼의 힘이라고 교재에 적혀 있는데요. 질문답변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한 결과 수호자는 지혜, 용기, 절제, 정의의 덕, 즉 4주덕을 갖춘 사람이고, 보조자는 용기, 절제, 정의의 덕을 갖춘 사람이고, 생산자는 절제, 정의의 덕을 갖춘 사람이라고 이해하였습니다. 그런데 정의의 덕을 갖추기 위해서는 영혼의 모든 부분이 각각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데, 보조자는 지혜가 없고, 생산자는 지혜, 용기가 없는데 어떻게 정의의 덕을 갖출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오직 수호자 계층만이 지혜, 용기, 절제의 덕을 갖추므로 정의의 덕을 갖출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무엇을 빠뜨리고 있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수호자, 보조자, 생산자는 서양윤리학사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2. 위의 내용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용기가 지혜의 인도를 받아 생겨나는 덕인데, 보조자 계층은 지혜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지혜로운 사람(수호자)의 명령에 따라 활동하여 용기의 덕을 갖추고 국가를 보호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보조자가 직접 지혜를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외부에 지혜를 갖춘 사람을 통해 지도받아 자신의 기개적인 부분, 욕구하는 부분의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한다면 정의의 덕을 갖출 수 있다고 보면 되는 걸까요? 3. 절제의 덕에 대한 질문입니다. 영혼의 모든 부분이 갖추어야 할 덕이 절제라고 하는데요, 기개적인 부분과 욕구하는 부분은 이성의 명령에 따라 지도받아야 하므로 이러한 맥락에서 절제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성적인 부분이 절제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은 이성이 기개적인 부분과 욕구하는 부분을 잘 통제하고 지도해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요? 4. 생산자 또한 절제의 덕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 또한 영혼의 모든 부분에서 갖추어야 하는 것이므로 생산자 계층의 영혼의 이성적 부분, 기개적인 부분, 욕구하는 부분 절제의 덕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생산자 계층은 지혜의 덕과 용기의 덕을 갖출 수 없으므로 이를 연결해서 파악하면, 생산자 계층의 경우 이성적인 부분과 기개적인 부분이 탁월한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지만 나름의 이성의 명령에 의해 기개와 욕구가 지도되고 있는 모습을 말하는 것인가요? (혹은 여기서도 자신의 이성의 명령이 아닌 외부의 지혜로운 사람의 명령을 따르는 것을 말하나요?) 4-1. 그렇다면 생산자 계층은 지혜의 덕과 함께 용기의 덕도 갖추지 못한 사람이므로 기개적인 부분은 이성의 명령에 따라 지도받고 있으나(절제의 덕이 있으므로), 기개의 탁월한 기능 수행은 못하는 것인가요? 즉 단순히 이성적 명령을 따른다고(절제의 덕을 갖춘다고) 해서 자신이 맡은 역할의 탁월한 수행이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것은 아닌 것이라고 보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