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5년 01월 19일 19시 20분
- 조회수
- 5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절제와 정의의 덕은 국가 전체의 덕이므로, 이상국가에서 통치자(수호자)는 지혜, 용기, 절제, 정의, 보조자는 용기, 절제, 정의, 생산자는 절제, 정의를 지닌 것으로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2. 국가의 생산자 계층이 절제의 덕을 갖추었다는 것은 생산자가 지혜로운 통치자의 명령에 자발적으로 복종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할 일을 잘 하고 있다는 사실만을 의미할 뿐, 생산자의 영혼의 모든 부분이 절제의 덕을 갖추고 있음을, 즉 생산자의 영혼이 정의의 덕을 소유하고 있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3. 네. 작성하신 바대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4. 용기가 없다면 절제는 있을 수 없고, 절제가 없으면 용기는 있을 수 없습니다. 단, 영혼 안에서 두 덕이 행하는 기능 혹은 역할을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두 덕은 구분됩니다. 그것들의 기능에 대해서는 두 덕의 정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이정빈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공부하다 보니 계속 질문이 생각나서 한 번 더 질문드립니다
1. 이상국가에서 수호자는 정의의 덕까지 갖추지만, 보조자, 생산자는 정의의 덕을 갖추지 못하는 것이 맞나요?
즉
수호자: 지혜, 용기, 절제, 정의
보조자: 용기, 절제
생산자: 절제
지난 질문에서 ‘정의의 덕을 갖추기 위해서는 영혼의 모든 부분이 각각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데, 보조자는 지혜가 없고, 생산자는 지혜, 용기가 없는데 어떻게 정의의 덕을 갖출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오직 수호자 계층만이 지혜, 용기, 절제의 덕을 갖추므로 정의의 덕을 갖출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의의 덕은 수호자 계층만 갖출 수 있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질문을 드렸고, 해당 답변에서 ‘이상 국가에서 수호자는 4주덕을 모두 갖춘 사람이고, 보조자는 용기와 절제의 덕을 갖춘 사람이고, 생산자는 고유한 덕은 없지만 절제의 덕을 소유한 사람입니다’라고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이전 질문에서는 ‘국가를 구성하는 세 부류의 사람들의 영혼의 측면에서 보면, 통치자는 4주덕을 모두 갖추고 있는 사람입니다. 반면에 보조자는 용기, 절제, 정의의 덕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고, 생산자는 절제와 정의의 덕만을 갖추고 있는 사람입니다.‘와 같이 답변해주셨던 적이 있어서 명확히 알고자 재질문드립니다!
2. 생산자 계층이 절제의 덕을 갖추었다는 의미는 개인 영혼의 측면에서 영혼의 모든 부분이 절제의 덕을 갖추었다는 의미가 맞나요? 생산자의 경우 ‘지혜로운 사람인 수호자의 명령에 따라 자신의 활동을 조절하면 생산자가 절제의 덕을 가진다’고 하셨는데, 이를 통해 생산자의 이성적인 부분, 기개적인 부분, 욕구하는 부분이 모두 절제의 덕을 갖춘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3. 정의가 그 자체로도 좋은 것일 뿐만 아니라 그것에서 생겨나는 결과 때문에도 좋은 것인 이유에 대해 작성해보았는데 적절한지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질서 잡힌 건강한 영혼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가 행복한 삶인데, 이는 곧 정의(올바름)의 덕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정의의 덕을 소유한 상태가 곧 인간의 행복한 상태이다. 건강은 그 자체로 좋은 것이므로 건강한 영혼을 소유한 상태인 정의의 덕을 소유한 상태 또한 그 자체로 좋은 것이며, 우리는 정의의 덕을 소유함으로써 행복해지므로 정의는 그것에서 생겨나는 결과 때문에도 좋은 것이다.
4. 기개적인 부분이 이성이 제시한 도덕적 지식에 의해 인도되어 실행할 때 용기의 덕을 갖춘다고 하는데, 절제의 덕 역시 이성에 의해 파악된 앎에 따라 통제, 조절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라고 해서 든 의문입니다. 기개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었을 때 이것이 용기의 덕을 갖추면 곧 절제의 덕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지 않나요? 용기의 덕 자체가 ‘기개적인 부분이 지혜에 의해 인도되어 형성된 혼합된 덕’이기 때문에 이미 절제의 덕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