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1월 28일 18시 34분
조회수
6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영혼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 부분은 각기 나름의 할 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영혼이 세 부분으로 분열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영혼의 세 부분은 지혜의 인도에 따라 하나로 화합하여 하나의 목적(좋음)의 실현을 위해 작용해야 하는데, 올바른 목적을 제시하여 영혼의 다른 부분이 그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해 작용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이 지혜로운 이성의 역할입니다. 지혜란 전체 영혼을 위해 참으로 좋은 것이 무엇인지 헤아리는 영혼의 힘이라는 정의를 이를 의미합니다. 2. 용기가 욕구하는 부분에서 생겨나는 올바른 이성의 명령에 반하는 비도덕적 욕구를 억제하여 이성의 명령을 실현하는 덕이라면, 절제는 영혼을 구성하는 세 부분이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조절함으로써 세 부분 사이에 화합과 조화를 이루어내는 덕입니다. 요컨대 용기는 비도덕적 욕구의 억제를 통한 이성의 도덕적 명령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덕이고, 절제는 이성의 지도에 따른 자기 조절을 통해 세 부분으로 구성된 영혼의 전체적인 조화를 이룩하는 덕입니다. 3. ‘이성이 부여하는 도덕적 지식’에서 도덕적 지식이란 지혜의 덕을 갖춘 이성의 올바른 판단을 의미합니다. 4. 위의 답변 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절제가 영혼의 세 부분 사이의 화합, 조화, 질서의 확립과 관련된 덕이라면, 정의는 영혼의 참된 좋음(선)의 실현과 관련된 덕입니다. 플라톤에 의하면, 정의로운 영혼이란 지혜와 용기의 덕을 갖추고, 나아가 영혼의 세 부분들 사이에 질서 있는 조화가 이루어져 참된 좋음을 실현하고 있는 영혼의 상태입니다. 정의의 덕은 이러한 상태를 이루고 유지하는 힘입니다. ▒▒▒▒▒▒ [김현아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플라톤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교재 39쪽 지혜에 대한 설명 중 영혼의 다른 부분인 기개적인 부분과 욕구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전체 영혼'을 위해 참으로 좋은 것이 무엇인지 헤아리는 영혼의 힘이라고 설명되어있습니다. 영혼삼분설에 따라 영혼을 이성, 기개, 욕구적인 부분만 있는 것으로 이해했기에 뿐만 아니라 전체 영혼이라는 것은 3개 이외의 다른 영혼이 있다는 것을 말하나요? 2. 용기와 절제가 이성에 따른 다는 내요이 비슷해 차이를 알기 어렵습니다.. 영혼의 부분이 다르고, 용기는 실행으로 절제는 욕구 조절로 이해해도 될까요..? 3. 용기는 이성이 부여하는 도덕적 지식에 의해 인도되어야한다에서 지식은 곧 덕이기에 '이성이 부여하는 덕'을 지혜라고 해석해도 될까요? 4. 교재 39쪽 용기는 개인으로 하여금 이성을 통해 파악한 도덕적 지식에 따라 실제로 행동하기 위해 비도덕적인 '욕구를 억제'하고 이성이 요구하는 것을 두려움 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이라고 설명되어있습니다. 이성에 의해 기개를 조절하고 통제하는 것은 절제의 역할이 아닌가요? 실행하는 일에만 용기는 한정 하면 안되는 건가요? 5. 플라톤에 관한 다른 수강생 질문 중 선생님 답변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절제는 이성이 영혼의 다른 두 부분을 통제하여 영혼의 각 부분들 사이에 질서와 조화를 이룩하는 것과 관련된 덕이고, 정의(올바름)는 영혼의 각 부분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할 뿐만 아니라 그것들 사이에 질서와 조화를 이루어 세 부분으로 구성된 영혼이 전체적으로 훌륭한 상태로 있게 하는 덕입니다. 이때 절제에서 각 부분들 사이는 이성, 기개, 욕구적인 부분들 각각에서 질서지켜야하는 것이고 정의는 3개의 덕을 조화를 이루어야한다는 말씀이신가요? 낮은 수준의 질문에 답변해주셔서 미리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