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스피노자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윤지예
등록일
2025년 01월 30일 23시 14분
조회수
100
첨부파일
교수님 안녕하세요~ 스피노자 관련 질문드립니다 1. 스피노자에서 감정이란 행위 역량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신체의 변용이자 그것에 대한 정신의 관념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신체의 변용이라고 적혀 있어서 행위역량 증대,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서의 의미로 감정을 이해하게 되는데요. 원인으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행위역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 현상 자체를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까요? 1-1. 교재 156p에서 ‘코나투스에 의해 인간은 자신을 더 큰 완전성에로 이행시키는 기쁨을 받아들이고, 덜 완전하게 이행시키는 슬픔을 배제하려고 한다.’에서는 또 이행’시키는’이라고 적혀있어서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1-2. 행위역량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신체의 변용, 그것에 대한 정신의 관념의 각각의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으신가요?? 추상적이라 잘 와닿지 않는 것 같습니다. 2. 기쁨은 우리의 행위 역량을 증가시키는 신체의 변용이자 그에 대한 정신의 관념인데, 이것이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기쁨과 사랑하는 감정과는 다른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행위 역량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작용을 하는 신체의 변용이자 그것의 정신의 관념인데, 기쁨을 느낀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기쁨같아서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기쁨을 느낀다라는 의미의 뜻을 제대로 알고 싶습니다. (서양윤리학사에서 ‘기쁨을 느낀다’라는 말을 보았던 것 같습니다.) 2-1. 사랑은 외부 원인을 동반하는 기쁨입니다. 즉 어떤 대상이 나에게 주는 기쁨입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대상이 나에게 주는 기쁨이라는 것은 곧 외부의 대상이 나에게 주는, 행위 역량을 증가시키는 신체의 변용이자 그에 대한 정신의 관념일 것입니다. 사랑 또한 외부 대상이 나에게 주는 행위 역량을 변용시키는 신체의 변용, 그것의 정신적 관념인데 기쁨을 주는 대상(외부 대상)을 사랑하게 된다는 것은 ‘내가 그것을 사랑한다’와 다르게는 전혀 파악이 되지 않아서 ‘사랑하게 된다’ 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질문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