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이 질문

작성자
이민건
등록일
2025년 02월 15일 13시 56분
조회수
69
첨부파일
1. [교재 450p. 본문 2문단 첫번째 줄 '모든 사물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이로 나타나는 것은 보편적인 이가 시공간에 국한되어 상이한 특성을 지닌 기와 결합하기 때문이다.' 교재 450p. 본문 2문단 4번째 줄 '만물의 이치가 각기 다른 것은 다양한 기의 특수성 때문이다.'] 위 두 문장의 '모든 사물에 있어 각각 하나의 이로 나타난다/만물의 이치가 각기 다르다'의 이는 분수지리/각일기성을 의미하고, '보편적인 이가 시공간에 국한되어'의 이는 통체일태극으로서의 리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2. [교재 452p. 본문 1문단 마지막줄 [이처럼 개체들이 다양한 이치를 가지는 이유는 그들이 다양한 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일분수란 이일기분수라 할 수 있다.' 위 문장에서 의미하는 바가 '개체들이 다양한 이치를 갖는 것, 즉 분수지리를 갖는 이유가 다양한 기에 의한 것이다. 그렇기에 주자의 이일분수는 이이에게는 이일기분수로 해석된다.'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주자 역시 다양성과 특수성의 근거는 다양한 기에 있는 것이고, 그렇다면 이이랑 주자랑 분수를 보는 관점이 다른거 같지 않은데, 어떤 관점에서 이이에게 이일분수는 이일기분수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인가요? 3. [교재 456p. 인심도심종시설 원문 2번째 줄. "감정은 하나인데 사단이라고도 하고 칠정이라고도 하는 것은 오로지 이치만을 말한 것"] [교재 436p. 기대승의 두 번째 비판 원문 2문단 2번째 줄 "이로 보면 이른바 사단이 이의 발이라는 것은 이만 기리켜 말하는 것이겠지만"] 이이/기대승 모두 발할 때는 이와 기가 함께 발함(이기공발)을 주장하는 학자들이니, 사단 역시 이와 기의 공발인데, 단지 기가 중절한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위 두 문장을 보면 사단은 이만을 가리켜 말한다고 하는데, 그것이 어떤 의미에서 이만을 가리킨다고 말하는 것인가요? 4. [5주차 보충자료 기대승의 두 번째 비판 '⑦ 칠정 역시 모두 선한 것이다. 오직 그 발한 것이 절도에 맞지 않을 때 한쪽에 치우쳐 악으로 될 뿐이다. 사단의 발함도 절도에 맞지 않을 때가 있기 때문에 모두 선한 것이라 할 수 없다.'] - 사단은 이미 발한 것이고, 칠정 중 중절한 것만을 말하는 것인데, 어떻게 '사단의 발함' 이 존재할 수 있으며, 또 어떻게 '모두 선한 것이라 할 수 없'는 것인가요? 사단의 발함이 아니라 사덕의 발함이 되어야하는 것 아닌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