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5년 03월 10일 21시 03분
- 조회수
- 6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현상계의 사물들과 이데아의 관계를 도토리와 상수리 나무로 비유한 기억이 없습니다.실제로 현상계의 사물들과 이데아의 관계를 도토리와 상수리 나무로 비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을 설명할 때 이 비유를 든 것으로 기억합니다.)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상계의 사물들과 이데아의 관계에서 이데아는 만물의 존재 근원이고, 그것들의 본질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이데아가 있기 때문에 현상계에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플라톤의 주장입니다.
▒▒▒▒▒▒ [김가연 회원님의 글] ▒▒▒▒▒▒
현상계와 이데아 선의 이데아가 있을 때
도토리를 현상계라고 하고 이데아를 상수리 나무라고 비유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선의 이데아는 비유를 들어 설명할 거 없이 도토리와 상수리 나무를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건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