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순자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3월 17일 17시 55분
조회수
1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춘추 시대 다섯 명의 패자가 행한 통치 방식을 패도라 합니다. 이러한 패도에 관한 맹자와 순자의 평가는 다릅니다. 맹자는 패도를 오로지 힘과 무력으로 다스리는 강압적인 통치 방식으로 보았습니다. 반면에 순자는 패도를 신의를 좇아 다스리는 통치 방식으로서, 전국 시대와 같은 혼란한 시기에 일정 정도 효과적인 통치 방식으로 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패도, 즉 춘추 시대 다섯 명의 패자가 행한 정치에 대하여 맹자는 그것을 배척해야 할 통치 방식으로 본 반면, 순자는 왕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천하의 혼란을 막는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 [윤지예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순자 관련 질문드립니다 1. 순자가 긍정하는 패도정치에서의 패도와 순자가 정치 체제를 세 등급으로 나눈 것에서의 패도가 같은 것인지 헷갈립니다. 순자는 맹자가 부정하였던 패도정치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였는데, 여기서 패도는 인의에 따르지 않고 힘에 의지하는 정치라고 나와 있습니다. 근데 순자가 정치 체제를 세 등급으로 구분한 것에서의 패도 개념은 신의를 좇아 다스리는 것입니다. 이 둘이 같은 것인가요? 순자에게 ‘패도’란 무엇이라고 정의되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