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충자료 19p랑 교재 52p보고 질문드립니다
--
품성의 탁월성은 본성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본성적으로 생겨나는 것들은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
여기서 '본성과는 다르게'를 해석하는 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저는 '본성과는 다르게'라는 단어를, 예를 들어 본성이 선함이라고 한다면, 본성인 선함의 방향과는 다르게, 즉 악하게 라고 볼 수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생각을 갖고 문장을 풀어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전개됐습니다
(1) 본성적으로 생겨난 것 =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 = 본성에 반대되는 방향으로는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들(?) = 본성에 맞는 방향으로는 습관을 들일 수도 있는 것들(?)
(2) 품성적 덕 = '본성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님 =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이 아님 =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있는' 것(?) = 본성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습관을 들일 수 있는 것(?)
논리의 비약이 있다는 건 알지만 여하튼 저렇게 전개될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그럼 (1)에 따르면 본성적으로 생겨난 것들은 습관을 들일 수도 있는 것이 되잖아요? 선천적인데 습관들여지는 것,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본성을 심성으로 잘못 해석해서 생긴 부조화일까요?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이다 = 본래의 심성(선or악)과 다르게 습관을 들이다
이렇게 말이죠
'본성과는 다르게'라는 말을 그냥 '본성(선천적)과는 다르게 습관(후천적)들일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하는 게 맞는 거겠죠??
사실 지금 질문을 하면서도 제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