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이이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수민
- 등록일
- 2025년 03월 20일 02시 19분
- 조회수
- 19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먼저 양질의 좋은 강의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이이 강의를 듣다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1. 보충자료 37p. '기발이승이란 무엇인가' 부분에서'기발과 이승은 시공간적으로 동시적이고, 공간적으로 선후좌우가 없음'이라는 문장에 대해 설명하신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 문장에서 '시공간적으로 동시적이다'라는 부분을 설명하실 때 이것을 기가 발한다고 이가 타는 의미로 이해하면 실제적으로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옳지 않고, 언제나 함께 같이 있는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이황이 말하는 기발이승과 이이가 말하는 기발이승의 의미가 다른건가요..?
이이는 기발이승일도설을 주장했다. 기발이승은 운동주체인 기와 운동하는 까닭인 이의 결합이다 라고 정의하는 것까지는 완료했는데, 위에 질문 드린 부분을 들으니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2. 이통기국에서 기국의 의미에 대한 질문입니다.
기국에는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 (청수한) 기는 특수한 시공간에 의해 국한되어 다양한 성격을 지닌 기들로 분화된다.
둘째, 기가 이를 국한하여 다양한 개체의 이치가 생긴다.
이렇게 정의 내리는 것은 맞을까요?
맞다는 전제하에 제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기가 이를 국한한다.'는 부분입니다.. 기가 이를 국한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강의를 듣고 교재를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3. 심성정의일로설에서 '성발위정, 심발위의 주장 비판'에 대한 질문입니다.
3-1) 성발위정
마음에는 마음의 작용 이외의 다른 작용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부분에 대한 인지는 했습니다.
그러나 강의에서 이 내용을 말씀하실 때 성은 마음의 본체 , 정은 마음이 사물에 감응하여 성이 밖으로 발한 것. 의는 발한 정을 헤아리고 계산하는 것이라고 하신 부분을 '성발위정과 심발위의' 주장에 대한 비판과 연관지어 설명하신 부분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 비판 부분을 성발위정은 성이 발한 것이 정, 심발위의는 마음이 발한 것이 의라는 개념이고, 이것을 인정하면 우리 마음에 이와 기, 두개의 작용이 있는 것이 되기에 옳지 않다라고 비판한다. 라고 이해했는데요.
제가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강의하실때 '정'의 개념이 마음이 사물에 감응하여 성이 밖으로 발한 것이라고 하셨으니 성발위정은 맞는 개념이 아닌가? 입니다.
이황은 정을 마음의 작용이자, 성발위정으로 보고, 이이는 마음의 작용은 맞으나 성발위정으로 보지 않는다라는 것이 왜 그런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데 이 부분 설명 부탁드립니다!
3-2) 심발위의
또한 의는 발한 정을 대상으로 마음이 계산하고 사려하는 것으로 이 역시 마음 작용이다라고 하셨으니 이를 마음이 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심발위의가 맞는 표현 아닌지요? 왜 이황이 의를 마음의 이발로 심발위의라고 보는 관점을 비판했다고 한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작용하는 것(발하는 것)은 오직 마음이라면 심발위의라는 표현은 맞는 것이 아닌가요.. 이 두 부분이 너무 헷갈리고 강의를 들어도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