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품성의 탁월성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5년 03월 24일 18시 08분
- 조회수
- 1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시력처럼 능력이 선행하고 이후 능력에 따라 활동할 수 있는 것만이 본성적으로 우리에게 생기는 것들이다.
품성의 탁월성은 습관을 통해(활동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품성의 탁월성은 본성적으로 우리에게 생기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성적으로 생겨난 시력이 반복적 활동을 통해 청력이 될 수 없듯이, 본성적으로 그런 것은 어느 것이든 본성과 다르게는 습관을 들일 수 없다.
품성의 탁월성은 습관을 통해 완성된다.
따라서 품성의 탁월성은 본성적으로 우리에게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 습관을 통해 완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본성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면, 혹은 우리의 본성이 품성의 탁월성과 반대 성격을 지닌다면, 우리는 습관을 통해 품성의 탁월성을 완성할 수 없다.
품성의 탁월성은 습관을 통해 완성된다.
따라서 품성의 탁월성은 본성에 반하여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습관을 통해 품성의 탁월성으로 완성될 수 있는 자연적 탁월성이 본성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품성의 탁월성은 본성적으로 우리에게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본성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습관을 통해 완성된다.
▒▒▒▒▒▒ [이종수 회원님의 글] ▒▒▒▒▒▒
보충자료 19p랑 교재 52p보고 질문드립니다
--
품성의 탁월성은 본성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본성적으로 생겨나는 것들은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
여기서 '본성과는 다르게'를 해석하는 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저는 '본성과는 다르게'라는 단어를, 예를 들어 본성이 선함이라고 한다면, 본성인 선함의 방향과는 다르게, 즉 악하게 라고 볼 수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생각을 갖고 문장을 풀어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전개됐습니다
(1) 본성적으로 생겨난 것 =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 = 본성에 반대되는 방향으로는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들(?) = 본성에 맞는 방향으로는 습관을 들일 수도 있는 것들(?)
(2) 품성적 덕 = '본성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님 =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는 것'이 아님 =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있는' 것(?) = 본성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습관을 들일 수 있는 것(?)
논리의 비약이 있다는 건 알지만 여하튼 저렇게 전개될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그럼 (1)에 따르면 본성적으로 생겨난 것들은 습관을 들일 수도 있는 것이 되잖아요? 선천적인데 습관들여지는 것,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본성을 심성으로 잘못 해석해서 생긴 부조화일까요?
본성과는 다르게 습관을 들이다 = 본래의 심성(선or악)과 다르게 습관을 들이다
이렇게 말이죠
'본성과는 다르게'라는 말을 그냥 '본성(선천적)과는 다르게 습관(후천적)들일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하는 게 맞는 거겠죠??
사실 지금 질문을 하면서도 제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