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스토아학파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3월 31일 20시 04분
조회수
17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스토아학파를 공부하던 중 헷갈리는 점이 있어 질문을 남깁니다. 1. 행복이란 ‘Apatheia’입니다. 즉, 행복의 본질은 ‘정념이 없는 부동심의 상태’입니다. 이러한 행복은 오직 이성과 덕의 힘으로 통해서만 실현되는 행복입니다. 2. 인간의 자유는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 ‘세계에 대한 비이성적 판단에서 기인하는 일체의 비이성적 정념으로부터의 해방된 상태’가 인간의 자유의 본질입니다.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객관적 사건들에 대한 자신의 내적인 판단과 태도, 행위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자유’는 인간이 자유의지를 지닌 자유로운 존재라는 사실과 인간의 자유가 존재하는 영역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정의로서, 인간의 자유의 본질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정의는 아닙니다. ▒▒▒▒▒▒ [방채윤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스토아학파를 공부하던 중 헷갈리는 점이 있어 질문을 남깁니다. 1. 스토아학파에서 행복의 본질이 무엇인지 서술하라고 하면, 이성과 덕인지/ 비이성적인 정념이 없는 부동심의 상태인 지, 아니면 다른 어떤 것인지 확실하게 답을 하지 못하겠습니다.. 혹시 스토아학파에서 행복의 본질이라고 하면 어떤 것 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보충자료에 따르면 스토아학파에서 '인간의 자유'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객관적 사건들에 대한 자신의 내적인 판단 과 태도, 행위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자유다. 라고 적혀있고 '참된 인간의 자유'를 세계에 대 한 비이성적인 판단에서 기인하는 일체의 비이성적인 정념으로부터의 해방이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둘의 서술을 보면 인간의 자유와 참된 인간의 자유의 설명이 다르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그러면 '스토아학파가 주장 하는 인간의 자유'가 무엇인지 서술하라면 무엇을 써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둘 중 하나만 써도 되는지 궁금합니 다. 항상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