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블라지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5월 21일 15시 33분
조회수
5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적 동기화의 핵심은 자기일관성이므로, 문제의 ‘도덕적 동기화’는 자기일관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은 책임판단입니다. 2. 네. 무방합니다. 3. 의지력과 자기통합성은 그 자체로는 도덕적 성격을 지니기 않으며, 그것들에 도덕적 성격을 부여하는 것은 도덕적 의지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어떤 인격을 도덕적 인격이 되도록 하는 본질적인 요소는 의지력과 자기통합성이 아니라 도덕적 의지이기 때문에, 도덕적 인격의 본질은 도덕적 의지입니다. ▒▒▒▒▒▒ [방채윤 회원님의 글]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블라지를 공부하던 중 어려운 점이 있어 몇 가지 여쭤보고자 질문 글을 남깁니다. 1. 2019년 논술 8번 B형 지문 중 블라지 부분에서 "그는 도덕적 이해, 도덕적 정체성, ( ㄷ ), 도덕적 동기화라는 네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도덕적 행위에 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여기에서 기출문제 분석집을 보니 ㄷ에 들어갈 답이 책임판단이라고 적혀있는데, 혹시 자아일관성은 답이 될 수 없을까 요? 그리고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정체성은 왜 도덕적 행위에 도달하는 과정의 가치에 포함되는지 이해가 되는데, 도덕 적 동기화는 왜 포함되는지 궁금합니다..! 2. 블라지의 입장 중에서 '블라지는 도덕적 이해라는 인지적인 요소만으로는 도덕적 행위가 산출될 수 없다. 그에 의하면 도덕적 이해가 자아로 통합됨으로써 도덕적 이해라는 인지적 요소와 자신이 내린 도덕 판단에 따라 행위하고자 하는 자 아일관성이라는 <정의적 요소>가 결합할 때만 도덕적으로 행위하게 된다.'라고 설명이 적혀있습니다. 근데 제가 < > 으 로 표기한 '정의적 요소'를 몇몇 곳에서는 '정서적 요소'라고 써놓은 자료를 보았는데요, 혹시 정의적 요소를 정서적 요소 로 써도 무방한지 궁금합니다. 3. 2023년 A형 10번 문제에서 "의지력과 자기통합성은 도덕적 인격의 구성요소는 될 수 있지만 본질은 될 수 없습니 다."라는 지문이 있습니다. 저도 도덕적 인격의 본질이 도덕적 의지라는 걸 알고는 있지만, 왜 다른 것들은 안되고 도덕 적 의지만이 본질이 될 수 있는지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왜 그렇게 되는지 설명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언제나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