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롤스, 하버마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장지현
등록일
2025년 06월 12일 15시 53분
조회수
44
첨부파일
1. 공적이성의 내용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정치적 정의관은 … 즉, 정의의 두 원칙을 포함한다. … 이성적 사고의 원칙들과 증거의 원칙들을 포함한다.” 라는 내용이 있는데요, 이해한 바를 바탕으로 하면, 정치적 정의관은 곧 정의의 원칙인데, 이성적 사고의 원칙들과 증거의 원칙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정치적 정의관이 공정한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며 그 중에 정의의 두 원칙과 이성적 사고의 원칙, 증거의 원칙이 포함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2. 정의론에서 ‘정의관’은 정의의 원칙의 역할에 대한 해석인데, 정치적 자유주의에서도 같은 의미인가요?그렇다면 정치적 정의관은 정의의 원칙이 합당한 다원주의 사회인 민주사회에서 다양한 교리들로 분열되어 있는 시민 상호 간의 공정한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 그러한 역할을 한다고 보는 관점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3. 중첩적 합의가 정치적 정의관에 대한 합의이자 정의의 두 원칙에 대한 합의라고 이해했습니다. 정의론에 따르면 정의의 두 원칙에 대한 합의는 무지의 베일인 상태에서 이루지므로 자신의 포괄적 교리에 대해서도 모르는 상태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중첩적 합의가 잠정적 타협이 아닌 근거와 관련해서, “중첩적 합의의 산물인 정치적 정의관을 인정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포괄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적, 철학적, 그리고 도덕적 근거에 기초하여 수용하는 것이다.”라는 내용이 있어서 포괄적 교리에 대한 지식이 배제되는 것이 아닌가 헷갈립니다. 이 때 중첩적 합의는 무지의 베일의 상태에서 이뤄지지만 중첩적 합의의 산물인 정치적 정의관, 정의의 두 원칙을 ‘수용’할 때는 위 문장에 나와있는 여러 근거에 기초하여 수용한다고 이해하면 되는 것일까요? 정의론에서의 원초적 입장과 정치적 자유주의에서의 중첩적 합의가 너무 헷갈립니다ㅜ.ㅜ 4. 공정으로서의 정의에서, 정의의 원칙이 공정한 이유에 대한 질문입니다. 정의의 원칙이 공정한 원칙인 이유는 공정한 합의의 산물이기 때문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즉 공정한 합의 상황, 원초적 입장이라는 공정한 합의 절차에 따라 이뤄진 것이므로 정의의 원칙은 공정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순수 절차적 정의를 기반으로 공정한 절차의 산물이므로 정의의 원칙이 공정하다는 관점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런데 기출 강의에서 해주신 말씀에 따르면 공정이라는 것은 상호성, 호혜성을 의미하고 원초적 입장에서의 합의했다는 것은, 합의 당사자 모두에게 이익을 의미하므로 공정한 원칙이다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이 관점은 공정성의 본질을 절차보다는 호혜성에 두고 있는 듯해서 제가 앞서 이해한 내용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듯 헷갈립니다. 5. 하버마스 타당성 요구, 타당성 주장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기출 강의에서 주장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타당성 주장, 주장을 듣는 사람이 어떤 걸 물으면 타당성 요구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다른 질문 답변에서 아래와 같은 설명 두가지가 있어서 헷갈립니다. -> 타당성 주장은 보편적 타당성 요구를 제기하는 주장입니다./ 타당성 요구에 대한 답변으로서의 타당성 주장 화자가 A는 B이다 라는 주장에 대해 청자가 타당성을 요구하고,이에 대한 답변으로 정당화를 하는 것이 타당성 주장인걸까요? 그렇다면 2021년 기출 지문에서 ”의사소통 행위는 화자의 타당성 주장에 대해 청자가 예 혹은 아니오로 입장을 표명한다.“는 문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처음 주장한 화자가 타당성 요구에 대한 답변으로 타당성 주장을 하고 이에 대해 다른 청자들이 입장을 표명한다고 이해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직 이해가 미흡하여 두서없이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항상 정성스런 답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