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쾌락주의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6월 16일 20시 14분
조회수
2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심리적 쾌락주의란 인간 행동의 심리적 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좀더 정확히 심리적 쾌락주의는 인간 행동의 동기를 쾌락의 추구와 고통의 회피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여기서 인간 행동의 동기가 되는 쾌락과 고통은 ‘나의 쾌락과 고통’입니다. 윤리적 쾌락주의는 인간은 쾌락을 추구해야 하고 고통을 회피해야 한다는 규범적 주장을 담고 있는 윤리학의 한 종류입니다. 고전 공리주의는 윤리적 쾌락주의에 해당하는 이론으로서, 고전 공리주의가 말하는 쾌락과 고통은 ‘나의 쾌락과 고통’이 아니라 ‘사회의 쾌락과 고통’입니다. 이런 이유를 고전 공리주의의 쾌락주의를 사회적 쾌락주의라고 부릅니다. ▒▒▒▒▒▒ [윤지예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쾌락주의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심리적 쾌락주의와 윤리적 쾌락주의의 차이점을 서술할 때, 심리적 쾌락주의는 자기 자신의 쾌락을 추구하는 입장이고, 윤리적 쾌락주의는 사회의 행복을 추구하는 입장이라고 쓰면 틀리나요? 근데 만약 공리주의에서 이 문제가 나오면 공리주의의 윤리적 쾌락주의는 사회적 쾌락주의니까 저렇게 써도 되는 건가요? 윤리적 쾌락주의랑 사회적 쾌락주의가 같은 것인지 헷갈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