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맹자, 로크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6월 16일 21시 11분
조회수
10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말씀하신 대로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2-1. 로크에 의하면, 정치사회란 공통의 법과 공통권력을 소유한 정부를 통해 자신들의 자연권을 보호받기 위해 자발적 동의로 형성된 사회적 공동체입니다. 따라서 정치사회의 기원은 동의입니다. 그리고 어떤 사회가 정치사회라 불릴 수 있기 위해서는 그것에는 반드시 공통의 법과 정부가 존재해야 합니다. 따라서 동의는 공통의 법과 정부의 기원이기도 합니다. 신탁은 정치사회를 수립하기로 동의한 개인들이 공통권력을 위임하여 정부를 구성하는 방식을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2-2. 로크는 공통 권력을 '공통의 재판관'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 [이유진 회원님의 글] ▒▒▒▒▒▒ 1. (맹자)192p 2024년도 기출을 보다가 질문이 있습니다. 맹자가 주장하는 수양방법을 저는 보충자료에 나와있는대로 선한 본성과 본래마음의 실현을 가로막는 장애를 제거하여 본래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의 선함을 함양하는 것으로 썼는데요. 예시답안에는 본성은 원래 선하기 때문에 선한 도덕심인 사단을 확충하여 선한본성을 함양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전자로 작성해도 괜찮을까요? 사단을 꼭 넣어야 하나요? 2. (로크)415p 1번문제를 보다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1)정치사회의 수립방식은 자연인들의 자발적 동의를 통해 공통의재판관을 확립하고 그에게 자발적 복종하기로 동의, 정부의 수립방식은 자연인들이 자연적 권력을 공동체 수중에 양도하여 개인이나 집단에 위임하는 신탁이라고 알고있는데요. 정부수립과 정치사회 수립방식이 이렇게 다르다는 것은 정부와 정치사회를 다르게 구분해야 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정치사회 수립 후 정부가 수립된다는 순서로 알아두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2-2) 정치사회 수립은 공동체 수중에 자연적 권력을 양도하여 공통권력을 확립하고 그것에 복종해야 한다고 예시답안에 쓰여있는데, 이때 공통권력=공통의 재판관으로 보아도 되나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