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2025년 B형 4번 기출문제 해설 문의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5년 06월 24일 21시 38분
- 조회수
- 1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개념 ‘도덕성의 형식’은 도덕적 사고 구조의 형식적 원리, 즉 도덕원리를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6단계의 형식’이란 6단계에서 사용되는 도덕원리로서의 정의의 원리를 말하는 것이고, 6단계에서의 정의의 원리는 본질적으로 평등한 인권과 인간 존엄성 존중의 원리입니다. .
2. 네. 그렇게 보셔도 됩니다. 참고로 어떤 원리가 6단계의 원리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그것은 반드시 보편타당성과 처방성(혹은 규범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때에만, 그 원리는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모든 사람의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공정한 도덕판단을 이끌어낼 수 있고, 누구나 그러한 판단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도덕적 정당성을 지닐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유용성의 원리(사회적 유용성이든 개인적 유용성이든 간에)와 선의의 원리(자기 희생을 요구하는 이타주의 원리)는 도덕적 문제 상황에 개입해 있는 사람들 중 어떤 사람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원리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고려하고 조정하며 통합할 수 있는 원리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두 원리는 6단계의 원리가 될 수 없습니다.
▒▒▒▒▒▒ [박성진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1.ㄱ.에 예시 답안이 6단계의 도덕원리를 작성하는 것으로 나와 있는데요, 이 문제에서 ㄱ에 6단계의 도덕원리를 기재하라는 단서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교재에 2,3단계에 대한 정의에 대한 관점은 나와 있지만 6단계에서 정의의 관점을 나와 있지 않습니다.저는 이번 시험에서 6단계 도덕원리를 알고 있었지만 이 문제에서 도덕원리를 쓰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해서 다른 내용을 기재했습니다.
2. ㄴ.에 대한 예시 답안이 이해가 잘 되지 않는데요, 작성된 예시 답안을 3단계와 5단계의 공통된 한계점으로 이해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