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합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6월 24일 21시 55분
조회수
2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탁월성’, ‘훌륭함’, ‘덕’은 모두 고대 그리스의 ‘arete’의 한국어 번역어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품성의 탁월성이든 지적인 탁월성이든 간에, 탁월성은 관련된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품성상태, 즉 도덕적이고 지적인 내적 성향입니다. 이러한 성향은 품성의 탁월성의 경우 반복적 활동을 통해 형성되고, 지적인 탁월성의 경우 교육을 통해 형성됩니다. ▒▒▒▒▒▒ [서지원 회원님의 글] ▒▒▒▒▒▒ 1. 아리스토텔레스의 품성적 탁월성을 고등학교 때는 품성적 덕 이라는 단어로 배웠던 것 같은데 그러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탁월성 이라고 하는 것은 정확히 어떤 것들을 말하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까 '좋음의 기능이나 본성을 지속적으로 잘 실현할 수 있는 품성의 상태' 라고 하던데, 그렇다면 탁월성, 즉 덕이라고 하는 것도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품성 상태 중 하나인건가요? 2.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품성적 탁월성은 품성 상태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는데, 지적인 탁월성 역시 품성 상태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는 건가요? 기예와 실천적 지혜 부분을 살펴보다가 기예는 그 정의가 "~~과 관련된 지적인 탁월성"으로 정의되고, 실천적 지혜는 그 정의가 "~~ 참된 실천적 품성상태"라고 정의가 되어서, 기예와 실천적 지혜 모두 지적인 탁월성 중 하나인데 이 정의에 따르면 지적인 탁월성 역시 품성상태의 한 종류로 봐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