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하버마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6월 30일 22시 18분
조회수
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311쪽의 내용을 이상적 담론 상황을 이루기 위한 조건을 서술할 것이 아니라, 이상적 담론 상황의 특징을 서술한 것입니다. 2. 담론윤리는 이론적 기초가 의사소통행위이론이기는 하지만,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다루는 부분과 담론윤리를 다루는 부분을 분리하여 고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의사소통행위 혹은 담론의 일반적 목적은 공통의 문제에 대한 합의입니다. 담론윤리에서 담론의 목적 또한 합의인데, 이때 합의는 보편성을 지닌 규범에 대한 합의입니다. ▒▒▒▒▒▒ [김현아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아래는 2022년 하버마스 질문의 교수님이 정리해주신 부분입니다. "담론이란 공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화를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합리적 의사소통과 담론은 동일한 개념입니다.이상적 의사소통 상황(=이상적 담론 상황)은 모든 억압과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운 담론의 상황이고, 담론윤리란 자신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 근거하여 하버마스가 정립한 윤리학입니다.이상적 의사소통 상황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참여자들에게 네 가지의 기회가 동등하게 보장되어야 하고, 참여자들을 다섯 가지 규범을 지켜야 합니다." 이 답변을 보며 드는 의문점이 정치 사상 교재 304쪽에 이상적 의사소통 상황을 이루기 위한 4가지 조건과 311쪽에 이상적 담론 상황(이상적 의사소통 상황)을 이루기 위한 2가지 조건의 연관성에 대해 궁금합니다. 6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는 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304쪽에 이상적 의사소통 상황의 정의와 310쪽에 규범의 보편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상적 담론 상황의 특징으로 나와있는 부분에 차이점은 규범의 보편화가 유무인가요? 항상 좋은 강의와 친절한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