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이정빈
- 등록일
- 2025년 07월 03일 15시 29분
- 조회수
- 4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과교육론 블라지 파트를 복습하며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교재 94p에서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이 도덕적 자아이며"라는 말이 있는데,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도덕적 자아의 핵심이 도덕적 정체성'이라고 하는 게 더 잘 와닿는데, 저 말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2. 각주에서 "가장 고도로 도덕적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는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그 사람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될 때 이루어진다. 도덕적 지식과 관심이 개인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되면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으로는 성격의 전 의식 구조의 한 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 동기와 정서를 함께 가지게 된다."라고 되어있는데요.
2-1. '도덕적 이해와 관심'은 관심을 생략하고 도덕적 이해라고 받아들여도 되나요?
2-2. 도덕적 통합의 의미인 <도덕성이 개인의 성격(동기 체계) 내로 통합되는 것>과,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개인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것>은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후자는 가장 고도로 도덕적 통합이 이루어진 것인가요?
2-3.통합의 의미는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분들이 자아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하나가 되는 것인데, 그럼 이러한 통합의 의미는 결국 어떠한 특성이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고도로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나요?
2-4. 제가 도덕성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안 서 있는 것 같은데, 도덕성 = 도덕적 이해인 것인가요, 아니면 도덕성 ⊃ 도덕적 이해 인 것인가요?
2-5. 해당 내용이 있는 기본서를 보니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 개인 성격의 한 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라고 되어 있는데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3. 블라지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에서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해 필요한 덕 중 높은 수준의 덕에 도덕적 의지, 자기통제의 의지력, 자기통합성이 포함되나요?
4.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 부분에서 도덕적 인격을 구성하는 세 요소 중 하나인 자기통합성은 도덕적 자아 모형에서 제시한 자기일관성이랑 똑같은 개념이나 용어만 다른 것인가요? 혹은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