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이정빈
- 등록일
- 2025년 07월 03일 15시 29분
- 조회수
- 81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과교육론 블라지 파트를 복습하며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교재 94p에서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이 도덕적 자아이며"라는 말이 있는데,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도덕적 자아의 핵심이 도덕적 정체성'이라고 하는 게 더 잘 와닿는데, 저 말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2. 각주에서 "가장 고도로 도덕적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는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그 사람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될 때 이루어진다. 도덕적 지식과 관심이 개인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되면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으로는 성격의 전 의식 구조의 한 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 동기와 정서를 함께 가지게 된다."라고 되어있는데요.
2-1. '도덕적 이해와 관심'은 관심을 생략하고 도덕적 이해라고 받아들여도 되나요?
2-2. 도덕적 통합의 의미인 <도덕성이 개인의 성격(동기 체계) 내로 통합되는 것>과,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개인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것>은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후자는 가장 고도로 도덕적 통합이 이루어진 것인가요?
2-3.통합의 의미는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분들이 자아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하나가 되는 것인데, 그럼 이러한 통합의 의미는 결국 어떠한 특성이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고도로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나요?
2-4. 제가 도덕성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안 서 있는 것 같은데, 도덕성 = 도덕적 이해인 것인가요, 아니면 도덕성 ⊃ 도덕적 이해 인 것인가요?
2-5. 해당 내용이 있는 기본서를 보니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 개인 성격의 한 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라고 되어 있는데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3. 블라지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에서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해 필요한 덕 중 높은 수준의 덕에 도덕적 의지, 자기통제의 의지력, 자기통합성이 포함되나요?
4.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 부분에서 도덕적 인격을 구성하는 세 요소 중 하나인 자기통합성은 도덕적 자아 모형에서 제시한 자기일관성이랑 똑같은 개념이나 용어만 다른 것인가요? 혹은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요?
5. 튜리엘 질문드립니다.
튜리엘 '규칙과 권위' 부분을 공부하면서 게시판을 검색하던 중 다음과 같은 교수님의 답변을 보았습니다.
"튜리엘은 사회의 인습 규칙을 도덕 규칙으로 오인하고, 그러한 규칙을 교사가 자신의 권위에 의존하여 학생에게 주입하고자 하는 전통적인 인격교육론의 잘못을 지적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도덕 규칙 및 도덕판단의 성격을 논하였습니다."
저는 사회인습적 영역의 특징인 "도덕판단과 달리 사회인습적 판단은 사회인습적 규칙과 권위에 의존한다'는 점 그리고 강의 중 교수님의 말씀해주셨던 내용인 '인습규칙과 관련해서는 권위자의 지시라고 생각하면 따른다'는 점을 바탕으로 사회인습적 규칙은 권위에 의존하고 받아들인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와 달리 도덕판단은 개인의 경험과 추론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형성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
위의 교수님의 답변을 살펴보면 튜리엘은 사회인습규칙을 도덕 규칙으로 오인하고 그 사회인습규칙을 권위에 의존해서 학생에게 주입하고자 한다는 주장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는데, 튜리엘은 사회인습 규칙이 권력에 의존해서 주입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면 사회인습규칙을 권위에 의존해서 주입하려 하는 주장을 비판하면 안 되지 않나요? 도덕규칙을 사회인습규칙으로 오인하고 그러한 도덕규칙을 권위에 의존해서 학생에게 주입하려하는 전통적 인격교육론의 주장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해야 더 맞는 것 아닌가요..?
아니면 교수님의 답변 중 그러한 규칙이 도덕규칙을 가리키는 것인가요?
전통적 인격교육론이 사회에 의해 확립된 사회인습규칙이 곧 도덕규칙이라서 그러한 도덕규칙이 권위에 의해 전수되고 주입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고,
튜리엘은 사회적인습영역과 도덕영역이 개별적인 영역이고, 권위에 의해 전수되는 인습 영역과는 다르게 도덕영역은 주입되어서는 안 되고 능동적으로 추론하여 구성해나가야 하므로 비판하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