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7월 08일 22시 12분
조회수
14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이 도덕적 자아이다”에서 ‘도덕적 자아’를 도덕적 존재로서의 나에 대한 자각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1. 네. 그렇게 받아들여도 무방합니다. 2-2. 도덕성이 개인의 성격 내로 통합된다는 것은 곧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자아의 한 부분(정확히 자아의 본질으로 이루는 부분)이 된다는 것입니다. 2-3. 질문의 내용 및 의도를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질문해 주시면 읽고 답변드리겠습니다. 2-4, 5. 블라지에게 도덕성이란 곧 도덕적 이해입니다. 3. 도덕적 의지, 자기통제의 의지력, 자기통합성은 덕이 아닙니다. 4.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자기일관성은 자기의 정체성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려는 심리적 경향성이고, 자기통합성은 성격을 구성하는 여러 부분들이 조화롭고 완전한 전체로 통합되는 것을 말합니다. 5. 이 전 제 답변에 오해를 야기할 만한 잘못된 표현이 있어 그것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겠습니다. ‘사회의 인습 규칙을 도덕 규칙으로 오인하고’ ⟶ ‘도덕 규칙을 사회의 인습 규칙으로 오인하고’로 수정 튜리엘에 의하면, 전통적 인격교육론자들의 오류의 핵심은 도덕 규칙과 사회의 인습 규칙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모든 도덕 규칙을 사회의 인습 규칙으로 오인하여 도덕 규칙을 권위에 의존하여 주입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 [이정빈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과교육론 블라지 파트를 복습하며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교재 94p에서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이 도덕적 자아이며"라는 말이 있는데,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도덕적 자아의 핵심이 도덕적 정체성'이라고 하는 게 더 잘 와닿는데, 저 말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2. 각주에서 "가장 고도로 도덕적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는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그 사람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될 때 이루어진다. 도덕적 지식과 관심이 개인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되면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으로는 성격의 전 의식 구조의 한 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 동기와 정서를 함께 가지게 된다."라고 되어있는데요. 2-1. '도덕적 이해와 관심'은 관심을 생략하고 도덕적 이해라고 받아들여도 되나요? 2-2. 도덕적 통합의 의미인 <도덕성이 개인의 성격(동기 체계) 내로 통합되는 것>과,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개인의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것>은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후자는 가장 고도로 도덕적 통합이 이루어진 것인가요? 2-3.통합의 의미는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분들이 자아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하나가 되는 것인데, 그럼 이러한 통합의 의미는 결국 어떠한 특성이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고도로 통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나요? 2-4. 제가 도덕성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안 서 있는 것 같은데, 도덕성 = 도덕적 이해인 것인가요, 아니면 도덕성 ⊃ 도덕적 이해 인 것인가요? 2-5. 해당 내용이 있는 기본서를 보니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 개인 성격의 한 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라고 되어 있는데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3. 블라지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에서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해 필요한 덕 중 높은 수준의 덕에 도덕적 의지, 자기통제의 의지력, 자기통합성이 포함되나요? 4.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 부분에서 도덕적 인격을 구성하는 세 요소 중 하나인 자기통합성은 도덕적 자아 모형에서 제시한 자기일관성이랑 똑같은 개념이나 용어만 다른 것인가요? 혹은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요? 5. 튜리엘 질문드립니다. 튜리엘 '규칙과 권위' 부분을 공부하면서 게시판을 검색하던 중 다음과 같은 교수님의 답변을 보았습니다. "튜리엘은 사회의 인습 규칙을 도덕 규칙으로 오인하고, 그러한 규칙을 교사가 자신의 권위에 의존하여 학생에게 주입하고자 하는 전통적인 인격교육론의 잘못을 지적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도덕 규칙 및 도덕판단의 성격을 논하였습니다." 저는 사회인습적 영역의 특징인 "도덕판단과 달리 사회인습적 판단은 사회인습적 규칙과 권위에 의존한다'는 점 그리고 강의 중 교수님의 말씀해주셨던 내용인 '인습규칙과 관련해서는 권위자의 지시라고 생각하면 따른다'는 점을 바탕으로 사회인습적 규칙은 권위에 의존하고 받아들인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와 달리 도덕판단은 개인의 경험과 추론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형성한다고 이해하였습니다. 위의 교수님의 답변을 살펴보면 튜리엘은 사회인습규칙을 도덕 규칙으로 오인하고 그 사회인습규칙을 권위에 의존해서 학생에게 주입하고자 한다는 주장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는데, 튜리엘은 사회인습 규칙이 권력에 의존해서 주입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면 사회인습규칙을 권위에 의존해서 주입하려 하는 주장을 비판하면 안 되지 않나요? 도덕규칙을 사회인습규칙으로 오인하고 그러한 도덕규칙을 권위에 의존해서 학생에게 주입하려하는 전통적 인격교육론의 주장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해야 더 맞는 것 아닌가요..? 아니면 교수님의 답변 중 그러한 규칙이 도덕규칙을 가리키는 것인가요? 전통적 인격교육론이 사회에 의해 확립된 사회인습규칙이 곧 도덕규칙이라서 그러한 도덕규칙이 권위에 의해 전수되고 주입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고, 튜리엘은 사회적인습영역과 도덕영역이 개별적인 영역이고, 권위에 의해 전수되는 인습 영역과는 다르게 도덕영역은 주입되어서는 안 되고 능동적으로 추론하여 구성해나가야 하므로 비판하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