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이황 이이 2025 기출 문제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5년 07월 08일 22시 48분
- 조회수
- 122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해당 기출 문제가 이황 단독 문제라면 말씀하신 바대로 서술하셔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이 문제는 이황과 이이를 비교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제시된 논점에 대한 이황과 이이의 입장의 차이점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서술하는 것이 출제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답안이 될 것입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예시답안을 작성하였습니다.
2. 이황과 이이는 모두 인성에 대한 주희의 관점을 기본적으로 수용합니다. 즉 둘 모두 인성을 설명할 때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이라는 두 개념을 사용하며, 특히 기질지성을 ‘기질+본연지성’으로 봅니다. 따라서 ‘이이는 본연지성을 성으로 보지 않는다’라는 주장은 잘못입니다. 본연지성을 성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은 곧 천리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인데, 이이는 이와 기의 불상리 관계를 강조할 뿐 이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상가가 아닙니다. 달리 말해서 현실적인 개체들의 성인 기질지성을 중요시한 것이지 본연지성의 존재를 부정한 것은 아닙니다. 이황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한 마음의 두 가지 성이 따로 떨어져 동시에 존재한다고 주장한 것은 아닙니다.
▒▒▒▒▒▒ [이동재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황 이이 2025 기출 문제 공부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께서 예시답안으로서 ‘갑은 사단의 근원인 본연지성과 칠정의 근원인 기질지성은 비록 분리될 수는 없지만 상이한 연 원과 가치를 지닌 두 성으로 본다.‘라고 적어주셨습니다.
1. 1~2월 강의록을 보면 이황이 바라본 본연지성과 기질기성의 관계에 대해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의 근본으로서,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에서 기인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2025 기출의 답으로, ’갑은 사단의 근원인 본연지성이 칠정의 근원인 기질지성의 근원으로,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에서 기인한다‘라고 작성해도 되는 것일까요?
2. 이이는 성을 기질지성 하나로 간주하고, 본연지성은 기질지성 가운데 ’리‘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 말과 이황의 기질지성-본연지성 관계의 차이가 명확하게 이해가 안됩니다.
이이는 본연지성은 기질지성 중 리이지만 이것을 본연지성이라고 이름만 붙일 뿐이지 성으로 보진 않은 것이고, 이황은 본연지성과 거기에서 기인하는 기질지성을 둘 다 ’성’으로 인정함으로써 두 가지 성을 가진다… 이렇게 본 것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