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칸트, 로크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7월 21일 21시 02분
조회수
3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칸트 1. 인간이 자율적인 존재인 이유는 그가 순수실천이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순수실천이성과 자율성을 동일 개념이 아니고, 자율성은 순수실천이성을 지님으로써 가지는 이성적 존재자의 성격입니다. 2. 1. 네. 완성된 도덕성 혹은 덕의 본질은 선의지입니다. 단, 이때의 선의지는 신성한 의지의 경지에 이른 의지, 즉 어떠한 경우에는 자연적 경향성에 의해 흔들리지 않는 도덕적 존재의 의지입니다. 로크 3. 말씀하신 문제는 사회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라는 문제입니다. 사회계약론자들에게 있어서 국가의 기원은 사회계약입니다. 따라서 국가의 기원을 물으면, 반드시 사회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셔야 합니다. ▒▒▒▒▒▒ [이동재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선생님? 복습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칸트 1. 강의록에 자율의 정식 함의로서 이성적 존재자가 보편적 도덕법칙 수립 주체인 이유가 나오는데요. 그 내용 도덕법칙, 의무를 확립하고, 그것에 근거해 도덕판단을 내리며, 자신이 확립한 도덕법칙을 자유롭게 따를 수 있는 능력인 이성의 소유라고 하네요. 이는 곧 칸트가 말하는 인간의 자율성일텐데, 순수 실천 이성을 자율성과 동의어로 보는 것이 맞나요? 아니면 순수 실천 이성을 가진 인간의 성격이 자율성이다 이렇게 보는게 맞는건가요? 2. 최상의 선은 완성된 도덕성으로서, 이를 소유하는 것은 행복을 누릴만한 자격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고 교재에 나옵니다. 선의지와 행복의 관계에 관해 선의지가 행복을 누릴 만한 자격 조건이라고 교재에 나오는데, 그렇다면 최상의 선은 선의지라고 할 수 있을까요? 로크 3. 루소 학습포인트 9번, 국가 수립 방식에 대한 홉스, 로크, 루소의 입장 서술에 관한 질문입니다. 로크의 국가 수립에 관해 “자연인들의 자발적 동의를 통해 공동체 수중에 양도된 권력을 개인 혹은 집단에 위임하여 정부를 수립한다.”라고 작성하면 될까요? 국가 수립이 정치 사회 수립까지를 이야기하는건지, 정부 수립 까지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헷갈리네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