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흄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이정빈
- 등록일
- 2025년 08월 13일 04시 26분
- 조회수
- 7
- 첨부파일
-
교수님 안녕하세요
흄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정의와 관련한 질문인데요. 아래 내용은 제가 정의 발생 과정과 정의와 사회적 유용성, 공감의 관계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1.
1) 정의의 근원 혹은 정의를 확정하는 근원적 동기(정의의 덕을 확립하는 근본 동기):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
- 불충분한 재화 / 인간의 자기중심성(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 한정된 관용 → 서로의 소유물을 빼앗음을 용인하면 사회 혼란, 나의 이익 줄어듦 → 나의 소유권 보장을 위해서는 타인의 소유권도 보장해줘야 함 깨달음 → 소유권 안정을 위한 규칙, 법을 만들자 → 소유물과 관련한 사회적 관습이 확립되면 정의와 불의의 관념이 생김
⇒ 정의: 소유권과 관련한 사회적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생겨난 인위적 덕 = 개인과 사회의 이익과 안녕의 침해 문제를 해결할 방책으로 생겨난 인위적인 발명품 = 자신과 공공의 이익에 대한 관심에서 생겨난 인위적 덕
⇒ 정의의 규칙 혹은 법의 기원: 자기 자신과 공공의 이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2) 정의로운 행동의 근원적 동기이자, 정의로운 행위와 성품에 대해 시인의 감정(도덕감)을 느끼는 이유는?
= 사회적 유용성
3) 공공의 이익을 창출하는 능력으로서의 정의의 덕에 대한 도덕적 찬동의 원천: 공감
= 사회나 소유당사자에게 유용한 모든 덕을 바라봄으로써 발생하는 찬동의 소감: 공감이라는 원리(원인)에 속하는 것
저의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의라는 것이 불충분한 재화와 인간의 자기중심성 및 한정된 관용이라는 여건에서 출발하므로 정의가 확립되는 근원적 동기가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이라는 점은 이해하였습니다. 또 결국 본래 근원적인 시작은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이었으나, 사회 혼란과 서로의 소유물의 침해를 막기 위해 정의의 규칙과 법을 필요로 했다는 점에서 개인과 공공의 이익에 대한 관심이 정의가 생겨난 이유, 목적이 되는 것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정의의 근원 혹은 정의를 확정하는 근원적 동기(정의의 덕을 확립하는 근본 동기):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과 <정의의 규칙 혹은 법의 기원: 자기 자신과 공공의 이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것을 함께 놓고 보면 어떤 용어 때문에 각각 구분하여 말할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정의의 근원이라고 하면 자신과 공공의 이익에 대한 관심, 사회적 유용성 이라고 말해도 될 것 같고, 정의(의 규칙)의 기원이라고 묻더라도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이라고 말해도 크게 이상하지 않은 것 같아서요. 근원과 기원의 차이가 크게 없어보여서 근원과 기원이라는 용어의 차이로 저 둘을 충분히 구별할 수 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문제를 풀면 명확하게 답할 수 있게 제시를 해줄 것 같지만, 위 내용에서는 명쾌하게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정리한 위의 내용에 틀린 점은 없는지도 검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 질의응답 게시판의 교수님의 답변 중 흄은 정의의 덕과 관련하여 정의의 형성 근원과 정의가 지닌 도덕적 가치의 근원을 구분한다고 하셨는데, 정의의 형성 근원: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 / 정의가 지닌 도덕적 가치의 근원: 사회적 유용성 이 맞겠죠?
항상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