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박지현
등록일
2025년 08월 15일 11시 08분
조회수
7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 강의 내용을 다시 복습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롤스> 1. 교수님 강의를 들은 후, 롤스의 ‘반성적 평형‘에 대한 교수님의 질의응답 답변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에 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1) 원초적 입장 그 자체가 반성적 평형 상태라고 해주셨는데, 반성적 평형 상태로 구성된 것이 원초적 입장이기에 반성적 평형=원초적 입장이 맞는 것인가요? 반성적 평형 상태를 통해 원칙들과 숙고된 판단의 상호 조정과정을 통해 기틀을 다지고 원초적 입장에서 이를 기반으로 정의의 원칙들을 합의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중첩되어 이해가 어렵습니다..! 1-2) 교재 199쪽 원문에서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그와 유사한 타당성을 지니는 그 이상의 전제 조건들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함으로써 이러한 원칙들이 정의에 관한 우리의 숙고된 신념에 합치한다면, 그 정도로써 충분한 것이 된다.” 이 문장 앞 부분에 대해 교수님이 답변해주신걸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장에서도 원칙은 우리에게 직관된 정의의 원칙을 뜻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여기서의 숙고된 신념이 우리들의 정의에 대한 판단..? 이라고 하면 될까요? 2.‘원초적 합의의 대상이 사회의 기본 구조에 대한 정의의 원칙들이고, 이러한 원칙이 그 이후의 모든 합의를 규제하고, 참여하게 될 사회 협동체의 종류와 설립할 정부 형태를 명시해준다‘는 것이 ’정의의 원칙에 부합 하에서 그 이후의 모든 합의가 이루어지고, 어떠한 정부를 설립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라는 의미가 맞을까요? 2-2) 위 문장을 바탕으로 롤스가 생각하는 것이 ’원초적 입장에서 정의의 원칙에 합의하면 이 정의의 원칙을 가지고 사회의 기본구조를 만들고, 이에 따라 사회체제가 성립하는데, 이 사회 체제가 정의의 원칙에 부합하는지 본다. 그리고 정의의 원칙에 가장 부합한다고 본 체제가 재산소유 민주주의다.‘ 이렇게 논리적으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을까요? 기본구조에 대한 교수님 설명을 통해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해는 알고 있으나, 기본구조와 사회체제의 순서? 관계?를 조금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항상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