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율곡이이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8월 20일 10시 01분
조회수
9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 2. 주희와 이황의 ‘거경’, ‘궁리’, ‘역행’ 개념은 근본적으로 동일합니다. 그런데 이이의 ‘거경’ 개념과 주희의 ‘거경’ 개념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이는 수렴과 정심(미발 함양, 이발 성찰)을 거경으로 규정합니다. 반면에 주희의 거경은 본질적으로 행 공부이기는 하지만, 정심과 구분되면서 그것의 토대가 되는 본령 공부입니다. ▒▒▒▒▒▒ [김민재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1. 이이 관련하여 이기지묘 질문이 있습니다. 1) "하나가 아니란 무슨말인가? 이기는 서로 떨어져 있지만, 이는 자체로 이고, 기는 자체로 기이므로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2) "둘이 아니란 무슨말인가? 이는 그자체로 이고, 기는 자체로 기이지만, 이기는 혼륜하여 선후도 없고 이합도 없으므로 하나라는 뜻이다." 리기지묘 관련 원문인데, 1)은 리기불상잡 , 리선기후, 논리적 측면 2)은 리기불상리, 실제적 측면, 현실적 측면 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2. 주희, 이황, 이이의 거경 궁리, 격물, 치지, 역행의 의미는 같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주희랑 이이는 분류한게 다르기는 하지만 주희를 계승한 성리학 계열의 학자들의 수양법들이 의미가 같게 느껴져서요!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