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롤스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고하늘
- 등록일
- 2025년 08월 24일 08시 27분
- 조회수
- 69
- 첨부파일
-
1. 롤스 문풀 2번 문항에서 정의의 원칙의 역할의 내용을 서술하라는 예시 답안이 '기본적인 사회 제도 내에서 권리와 의무를 할당하는 방식을 제시해 주며, 사회 협동체의 이득과 부담의 적절한 분배를 결정해 준다.'인데 왜 '권리와 의무, 사회적 협동으로부터 생긴 이익의 분배를 결정해줄 사회 체제를 선정한다.'는 역할은 안 되는 건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롤스의 기본적 자유의 우선성과 축차적 서열, 우선성 규칙이 구분이 어려워 질문드립니다.
2-1) 우선성 규칙과 축차적 서열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정의의 제1원칙은 제2원칙에 우선하고 자유는 오직 자유 그 자체만을 위해서 제한될 수 있다(축차적 서열) (a) 덜 광범위한 자유는 모든 이에 의해 공유된 자유의 전체적 체계를 강화해야만 하고 (b) 덜 평등한 자유는 보다 작은 자유를 가진 그러한 시민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어야 한다.(우선성 규칙)
정의의 제2원칙은 서열상으로 효율성의 원칙이나 이득의 총량의 극대화 원칙에 우선해야하며 공정한 기회는 차등의 원칙에 우선해야 한다.(축차적 서열) (a) 기회의 불균등은 보다 적은 기회를 가진 사람들의 기회를 증대해야만 하고, (b) 과도한 저축률은 이러한 노고를 치르는 사람들의 부담을 경감시켜야만 한다. (우선성 규칙)
로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즉, 축차적 서열로부터 우선성 규칙이 나온 것으로 이해해야 하는 걸까요?
2-2) 그리고 기본적 자유의 우선성이 정의의 제1원칙은 제2원칙에 우선하고 자유는 오직 자유 그 자체만을 위해서 제한될 수 있다는 내용인데 첫 번째 축차적 서열과 동일 내용인 건가요?
3. 나바에즈 학포 질문에 "1. 나바에즈가 ‘도덕적 스키마’가 ‘공동의 도덕성’을 담지하고 있다고 본 이유를 두 개념의 성격을 모두 활용하여 서술하시오."가 있는데 이에 대한 답변으로
공동의 도덕성은 사려와 숙고를 통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참조하는 도덕성의 추론적 측면과 공동체의 공유된 신념 및 맥락 속에서 작동하는 도덕성의 직관적 측면을 동등한 파트너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도덕 스키마는 내용을 포괄한 맥락 의존적 특성과 암묵적인 자동화 수준에서 활성화되는 직관의 활성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그래서 나바에즈는 도덕 스키마가 직관과 추론의 중도적 관점을 지향하는 공동의 도덕성을 담지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라는 답에 문제가 없을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