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공화주의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현아
- 등록일
- 2025년 09월 12일 17시 59분
- 조회수
- 23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공화주의에 대해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비지배 자유의 실현 조건에서 '공정한 법의 지배'의 지배를 패팃이 소극적 자유를 비판할 때 쓴 '지배가 없는 간섭'에서 지배의 의미가 아닌 사전적으로 아는 지배에서 쓸 수 있는 개념인 것일까요? (정치사회사상 교재 p.347)
두 말이 상충된다고 느꼈습니다..
2. 사전적 의미의 맥락에서, 공정한 법의 '예속'이라는 말도 가능한가요?
공정한 법의 지배 이외에 그 어떠한 자의적 권력에도 예속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기출 교재 p.548) 문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긴 의문입니다.
3. 공화주의 전통에서 발견되는 비지배란 시민적 권리를 온전히 향유할 수 있는 시민만이 누릴 수 잇는 자유를 의미한다. (기출 교재 p.551)
강의에서 인간을 처한 상황에 따라 자유인과 노예로 나눠 설명하셨는데, 이때 시민은 노예를 포함하지 않는 자유인만 해당되는 건가요?
항상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