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모의고사 1회차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이정빈
- 등록일
- 2025년 09월 14일 01시 03분
- 조회수
- 45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모의고사 1회차 관련하여 몇 가지 질문드립니다.
1. A5번에서 딜레마 토론 주제 선정 및 제시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을 작성하면서 아직 수업 모형 파트를 공부하지 않아서 콜버그 전기 이론 중 +1전략을 떠올려서 '학생들의 발달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딜레마 토론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고 작성하였는데요. 답안을 보니까 발달 수준에 맞게 딜레마를 제공해야 한다고 나와 있더라구요. 그래서 딜레마 토론 주제는 발달 수준에 알맞은 주제로 선정해야 하는 것이고, 다만 토론 중에 있어 학습자의 발달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추론을 접하게 한다는 것이 +1전략의 함의였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이 발달 수준에 맞는 딜레마 토론을 토론 참여자들에게 제공한다면 그들의 발달수준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떻게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추론을 접하게 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냥 교사가 이러이러한 추론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방식인 것인지, 혹은 높은 단계의 추론을 하는 학생들과 함께 토론하게 시키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후자의 경우라면 높은 단계의 추론을 하는 학생들의 발달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느껴져서요.
2. A8번에서 근본불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오취온이 오온에 탐욕이 있는 것이라고 보고, 이를 풀어서 설명하면서 오온을 고정된 실체로서의 자아로 착각하여 그것에 애착하는 것이라고 해설자료에 적혀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오온 각각도 인연이 화합하여 생겨난 것이고, 나 또한 오온이 인연화합하여 일시적으로 성립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죠? 해설 자료에서는 오온을 고정된 실체로서의 자아로 착각하였다라고 적혀 있는데, 오온이라는 용어 자체가 색온, 수온, 상온, 행온, 식온이 일시적으로 결합한 상태를 말하는 것인지 혹은 다만 5가지의 온을 포괄하여 말하는 것인지 헷갈려서요..! 그냥 오온으로서의 나라고 작성하는 것과 오온이 인연화합하여 생긴 일시적인 결합으로서의 나라고 작성하는 것 모두 괜찮은 설명인지 궁금합니다.
3. A12번에서 ㄱ에 해당하는 용어로 '합의'를 쓰면 틀리게 될까요? 원문 그대로라면 외울 수밖에 없겠지만 해당 의사소통 행위에 대해서 이해와 합의 모두 유사하게 언급되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4. B3번에서 피아제에게 협동적 도덕성 단계의 아동이 정부의 결정에 대한 판단을 작성하는 부분에서 저는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 3단계에서 보았던 '타인과의 관계에서 배려를 기반으로 한 공정성을 토대로 분배개념을 세워 서로 다른 소득수준에 따라 다르게 소비쿠폰을 분배하는 것을 수용하였다.'라고 작성하였는데요. 이 내용이 적합한지, 그리고 피아제 협동적 도덕성 단계의 '상호존중에 근거를 두고 평등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적 정의관'과 일맥상통하는 걸로 이해해도 될까요?
4. B4번에서 튜리엘에게 도덕원리가 복지, 정의와 관련된다고 하시면서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말라, 타인을 공정하게 대우하라 라는 2가지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셨는데요, 기본 강의 들을 때 해로움(복지), 공정, 권리 이렇게 3가지로 알고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말라, 타인을 공정하게 대우하라,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말라 라고 정리해놓았어서요. 복지와 권리를 하나로 보는 게 맞는 걸까요??
5. B8번 스피노자 문제에서 적합한 원인을 활용하여 수동적 감정의 예속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작성하는 것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저는 <수동적 감정의 예속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세계의 궁극적인 원인과 자연의 인과적 질서를 인식함으로써 자기 자신이 감정의 적합한 원인이 되어 감정의 원인과 본성에 대한 적합한 관념을 소유하는 것이다.> 라고 작성하였는데요.
답이 적절하다고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해설에 나온 것처럼 능동적 감정으로 이동하면서 '내가 감정의 적합한 원인에 대한 인식을 한다'고만 말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제가 쓴 것처럼 '내가 감정의 적합한 원인이 된다'고까지 작성해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벌써 9월이 되었는지 질문이 많이 생기네요.. 교수님 답변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