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모의고사 1회차 B형 3번

작성자
고하늘
등록일
2025년 09월 16일 14시 27분
조회수
52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모의고사를 복습하던 중 구분이 어려운 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B형 3번 피아제 이론 중 - 처벌관: 강제와 억압에 근거한 속죄적 처벌 개념이 지배적인 단계 → 위반의 심각성에 비례하여 강제적으로 행해지는 보복적 처벌, 위반자를 원위치로 돌려놓는 목적의 처벌 - 정의관: 일방적 존중에 근거를 두고 있고, 권위적인 구속과 타율성에 의하여 조장되며, 위반자로 하여금 죄를 보상하도록 만드는 징벌적인 성격의 정의관인 보복적 정의관(속죄적 처벌?) 처벌관과 정의관이 너무 유사하게 느껴지는데 보복적 처벌과 보복적 정의관을 어떻게 구분하면 좋을까요? 2. B형 8번 문제에서 교수님께서 적어주신 서술 예시 답안이 관련 이론을 보고 유추가 잘 안 되어서요 ㅠㅠ 저는 'ㄷ은 내가 나의 본성에 대한 타당한 관념을 소유하여 나의 감정의 원인에 대해서도 타당한 관념을 소유하는 감정이다. ㄹ은 이성을 완전하게 하여 세계의 본성의 필연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수동적 감정에 대한 타당한 원인을 인식하여 수동적 감정의 예속에서 벗어날 수 있다.' 는 답을 적었는데 어떤 부분에서 잘못된 건지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2회차 모의고사 B형 1번에서 ㄴ이 복명이 아닌 '정'인 이유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제시문에서 "뿌리로 되돌아 가는 것을 정이라 일컬으며,"라고 나와있는데 복명이 자연적인 모습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어서 어째서 답이 복명이 아닌 정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2회차 모의고사 A형 4번에서 답이 애국심이 아닌 비르투여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 그리고 의천 강의자료(파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에 교선일치의 방법을 저렇게 두 가지로 구분하셨는데 아무리 봐도 1(내외겸전)과 2(교관병수)의 차이점이 구분이 안 되어서요 ㅠㅠ 저렇게 구분해두신 이유를 여쭙고 싶습니다. 6.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와 공정으로서의 정의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둘다 관점이라는 측면에서 구별점을 모르겠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