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1회차 모의고사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09월 22일 22시 04분
조회수
3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비도덕적’이란 표현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2. 자아이상의 핵심 역할은 도덕적 이상, 즉 긍정적인 도덕 규준을 부여하는 것이고, 그것을 통해 도덕적으로 선한 행동을 하도록 이끄는 것입니다. 따라서 긍정적인 도덕 규준을 부여한다는 표현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3. 모든 종류의 욕망이 비도덕적인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비도덕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네. 5. 분배적 정의관 혹은 평등적 정의관을 본질을 묻는 문제입니다. 여기서 정의관이란 무엇인 정의로운 것인지에 대한 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어떻게 분배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인지에 대한 답을 서술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분배적 정의관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존중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지, 매 순간 합의를 통해 재화를 분배하는 것이 정의롭다고 보는 관점은 아닙니다. 6. 반드시 서술해야 할 내용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오답입니다. ▒▒▒▒▒▒ [오예린 회원님의 글] ▒▒▒▒▒▒ 오늘도 고생이 많으십니다. 질문이 많아 번거로우시겠지만 확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형 질문 1. 6번에서 초자아의 원초아에 대한 역할로 => 원초아의 충동적 욕구를 제어함이라고 적었는데요. 비도덕적이라는 말이 정답을 좌우할까요? 2. 6번에서 도덕적 행동과 관련한 자아이상이 행하는 역할로 => 자아이상은 선한 행동을 하도록 만들며 이러한 도덕적 행동을 통해 자긍심을 자지게 된다고 서술하였는데요. 긍정적 도덕 규준이라는 표현이 꼭 들어가야 할까요? 3. 9번에서 용기가 ㄷ(혼이 헤아리는 부분)과 ㄹ(비이성적이고 욕구적인 부분)과 관련하여 하는 역할을 서술 => ㄹ과 관련해서 답을 작성할 때 욕망을 자제하고 절제할 수 있게 돕는다라고 적었는데요. 비도덕적이라는 말이 들어가야 할까요? 4. 12번에 ㄱ에 이해 대신 상호이해라는 말도 적절할까요? B형 질문 5. 협동적 단계의 아동~ => ㄷ이란 권리, 의무, 이익과 부담에서 분배를 사람들 간의 상호 합의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나)의 정부의 결정이 국민들 간의 합의로 결정된 것이면 (나)는 정당하다. 이러한 서술도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제가 적고도 콜버그나 롤스 느낌이 강하게 적은 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6. 4번에서 사회적 인습의 성격을 7단계에 이른 사람의 입장에서 서술 => 사회적 일치성을 알고 이로 인해 효율적으로 다른 것들과 상호작용하며 조화를 이룬다라고 서술하였는데요. 정답으로 인정될까요? 인정이 되지 않는다면 어떤 부분을 핵심으로 적어야 할까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