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5년 10월 13일 20시 04분
조회수
3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전공A- 1. 3번 문제: 상호 이해도 정답입니다. 2. 4번 문제: 제시문이 이황임을 몰라도 충분히 답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거경’의 번역어는 ‘경에 거한다’입니다. 따라서 거경을 기입하는 것은 문맥상 어색합니다. -전공 B- 1. 9번 문제: ‘로크의 단서를 준수하면서’라는 조건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말씀드렸듯이 노직이 말하는 로크의 단서는 충분한계입니다. <영역별 기출 문제 분석> 교과서에 지눌의 선교일치 방법으로 정혜쌍수가 제시되어 있지만, 돈오점수 또한 정답으로 허용되는 것이 타당합니다. 지눌에게 돈오점수는 궁극적인 깨달음에 이르는 전체적인 수행의 단계와 과정을 일컫는 것이고, 정혜쌍수는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혜쌍수는 돈오점수의 핵심적인 수행 방법으로서 이 두 개념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선교일치의 방법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으로 돈오점수를 언급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오류가 없습니다. ▒▒▒▒▒▒ [김사랑 회원님의 글] ▒▒▒▒▒▒ 4회차 모의고사 관련해서 3가지 질문과 영역별 기출 질문 1가지 있습니다. <4회차 모의고사> -전공A- 3번 문제. ㄱ에 해당하는 용어로 ’상호 이해‘라고 작성하였는데, 이 답도 정답이 될 수 있을까요? 하버마스는 심의의 목표를 이해와 합의로 본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래서 ㄱ을 작성하는 데에서도 많은 고민을 하다가 이해로 작성했습니다. 이해가 오답이라면 이해와 합의가 각각 따로 쓰이는 의미가 따로 있는지 궁급합니다. 4번 문제. 해당 제시문의 어느 부분을 통해 퇴계임을 인지할 수 있나요? 미발시, 이발시에 모두 이뤄져야 하는 공부로 거경임은 인지하고서 거경은 강조한 퇴계라고 어림짐작으로만 문제를 풀었어서 질문 남깁니다. 그리고 경이 아닌 거경이라고 기입해도 될까요? -전공 B- 9번 문제. 제시문 (나)의 갑이 말하는 문장을 보면 노동을 통해 획득한 모든 소유물에 대해 소유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하는데, 저는 ’모든 소유물’이라는 말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여 충분한계 개념을 활용하여 수정하였습니다. 취득에 있어서의 정의의 원칙에서 사적 소유권 행사의 한계로 충분한계가 적용되면 노동을 통한 소유물이라도 ‘모든 소유물’에 대한 소유권리를 가질 수 없는 건 아닌지 궁급합니다. <영역별 기출 문제 분석> 지눌 6번 문제(21년). 지눌의 선교일치 방법으로 예시답안에는 정혜쌍수라고 되어 있는데, 저는 선교일치 방법은 돈오점수이고 점수의 방법이 정혜쌍수라고 이해했습니다. 돈오점수가 지눌이 말하는 선교일치의 방법이고 돈오점수에 대한 수양법이 정혜쌍수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