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5년 10월 13일 20시 45분
- 조회수
- 2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제시문의 마지막 문장에 나오는 선종의 고유 개념인 ‘견성(불성을 봄)’을 통해 제시문의 저자가 지눌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동일한 개념입니다.
3.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인의 본체’가 아니라 ‘인은 본체’입니다.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안예원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3회차 a형 모의고사 4번 문제에서 지눌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지, 관이라고 생각하여 의천의 지관병중을 떠올렸는데 지눌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롤스의 공적 정의관과 공공적 정의관은 같은 용어로 봐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기출문제분석집 207쪽에 관련 이론: 주희의 ‘인’의 성격에서
전문적으로 말하면~ 문장에서 ‘부분적으로 말하면 인의 본체요 측은은 작용이다’ 라는 문장을 ‘인은 본체요 측은은 작용이다’라고 바꾸는 것이
맞는 문장 아닌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석 연휴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