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박지현
등록일
2025년 10월 14일 09시 06분
조회수
13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 저번 루소 질문에 대해서 다시 여쭤보는 것과 동시에 다른 부분들에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같이 질문드립니다. <루소> 1)저번 루소 질문에 대해 자세히 다시 여쭤보면, 교수님께서 답변해주신것 과 같이 주권자=국민이고 이 국민은 집합적 개념이기에 국가의 어떤 개인도 홀로 주권자가 될 수 없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교재 120페이지 “셋째, 루소의 사회계약은 ~ ” 문장 마지막에 ‘국가의 구성원인 개인들은 주권 행사의 담당자라는 점에서 그들은 모두 주권자이다.’의 문장과 비교해서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2)그리고 주권자와 (국민,시민,신민) 이 개념은 구별해서 사용해야 하는 건가요?? 주권자=국민이라고 생각했는데, 시민은 주권에 참여하는 ‘개인’을 나타내는 것이여서 그럼 집합적 개념이 아니니까 주권자 개념과 구별해서 봐야하는 것인지 갑자기 헷갈리네요.. ㅠㅠ 2)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던 것 같은데, 교수님이 달아주신 답변 그대로 ‘개인들이 지닌 특수의지의 총합이 전체의지’라는 것에서 ‘전체의지’에는 사적인 이익이 아닌 공적인 이익을 염두에 두는 일반의지는 전혀 포함되지 않고 오로지 사적이익을 추구하는 의지들만의 합인 것이 맞을까요? 교재 121페이지 개념으로 보면 일반의지를 전체의지 중에서 공동체의 공동의 이익을 지향하는 의지라고 되어있어서요 ..! <아퀴나스> 1)아퀴나스가 사주덕에 사려를 포함시킨 것이 인간이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필요하기 때문이나, 여전히 최고덕으로 보는 것은 지적인 덕 중 사려가 아니 지적인 덕의 ‘지혜’인 것이죠?? 2)그럼 아퀴나스가 사주덕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본 덕은 ‘사려’ 라고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교재 139페이지 원문에서 한 가지 기본적인 덕으로 사려를 제일 먼저 설명하고 있어서 여쭤봅니다..! 3)아퀴나스의 의지는 이성적 욕구이기 때문에 의지가 이성에 의해 의식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자유의지이다. 라고 정리했는데 이 부분의 핵심이 정념처럼 다른 외부적인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성이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유의지라고 의미한다고 보면 괜찮을까요?? <주희> 1)주희에게 도심과 인심 모두 이발의 마음이라고 생각하였는데, 교재 410페이지 원문에서 “~천하의 일에 감응하여 통하게 되면, 희노애락의 정이 발하여 마음의 작용을 볼 수 있는데, 중절하지 않음이 없고 어그러짐이 없으면 화라고 이른다. 이것은 곧 인심의 바름이며 성과 정의 덕이 그러한 것이다.“ 에서 ‘화라고 이른다. 이것은 곧 인심의 바름이며 성과 정의 덕이 그러한 것’ 이 부분에 대한 저의 이해가 옳지 않은 것 같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교수님 ㅠㅠ <이황> 1)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강조해주신 것과 같이 이황은 주희와 달리 이생기를 실제적인 사태로 보았다는 의미에서 이생기는 교재 431페이지 아래 원문에서 이의 지신한 용의 측면이라고 보면 될까요?? 2)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교재 432페이지의 원문에서 “태극이 운동하고 정지하는 것은 태극이 스스로 운동하고 정지하는 것입니다~ ”부분의 의미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이황의 입장에서 리(태극)이 동하여 기를 낳는것을 실제적 사태로 긍정한 것이 리가 기처럼 작위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이황의 입장에서 ‘스스로 운동하고 정지한다는 것’의 자세한 의미가 궁금합니다 ㅠ 2-1)그리고 위 질문에서 이황이 저기서 이야기한 의견이 교수님이 수업시간 설명해주신 리자도와 관계되는 맥락일까요?? 3)이황 문제풀이 3번에서 ㄷ에 대해 교수님께서 설명해주신 부분을 ’사단이 발할 때는 기가 일체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선한게 맞으나, 이후에 마음의 작용(기의 작용 이때 영향)이 잘못되면 불선으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 발하여 측은지심이 생기는 상황에선 기의 영향이 없으나, 이후에 다른 나쁜 의도로 구하고자 라는 마음, 즉 기의 작용이 생기면 불선으로 흐를 수 있다.‘ 이렇게 정리하였는데 잘 이해한 것일까요?? 항상 좋은 강의와 답변 감사드립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