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내부적 제재는 의무를 위반했을 때 수반되는 일종의 고통입니다.
2-1. 네. 최고의 도덕적 통합의 수준은 도덕성(도덕적 이해)이 성격의 중심(한 개인의 동기 체계)으로 통합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성격의 중심이란 자아가 아니라
2-2. 도덕적 이해와 관심은 곧 도덕성을 말하는 것이고, 자아정체성의 통합과 자아정체성의 일부가 됨은 동일한 개념이므로, 두 문장은 의미가 같은 문장입니다.
▒▒▒▒▒▒ [장지현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기출을 다시 풀어보던 중에 궁금한 내용이 생겨서 질문올립니다.
1. 먼저 작년 벤담과 밀 제재 관련 문제입니다! 기출 강의 보충 자료에 적어주신 답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을(밀)에 의하면, 도덕적 의무의 대상은 그것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위반하였을 경우, 내부적 제재로 인해 위반자의 마음 속에 고통이 발생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1~2월 기본서에 따르면 내부적 제재는 의무를 위반했을 때 느끼는 일종의 고통이고 이것이 도덕적 의무감의 근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고통이 곧 내부적 제재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기출 답안에서 “내부적 제재로 인해 위반자의 마음 속에 고통이 발생한다.”라는 문장이 인과관계로 느껴져서 조금 헷갈립니다. 원래 이해하던대로 내부적 제재가 고통인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2-1. 블라지의 통합 개념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도덕적 자아모델에서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성이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될 때 형성된다고 이해했습니다. 또한 성격의 중심은 자아라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최고의 도덕적 통합의 개념과 유사해서 헷갈리는 중입니다.. (도덕성을 개인의 동기체계 내로 통합하는) 도덕적 통합을 통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과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성격의 중심인 자아의 한 부분이 되는 최고의 도덕적 통합을 통한 도덕적 정체성은 그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 같은데, 도덕적 자아모델에서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최고의 도덕적 통합 수준을 의미하는 걸까요?
2-2. 블라지 17년도 기출 지문에서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성과 자아 정체성의 통합을 통해 정립”된다라고 나와있는데, 09년도 기출에서는 ”도덕적 이해와 관심이 자아정체성의 일부가 될 때 최고의 도덕적 통합에 이르게 된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자아 정체성의 일부가 되는 것이 곧 자아 정체성과 도덕성의 통합이라고 생각되는데, 각각 해당하는 개념이 달라서 헷갈립니다,, 두 문장이 어떻게 다른지 여쭤봐도 될까요?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아 질문이 많아 힘드실텐데 늘 정성스럽게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